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국내 첫 백신…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설 전 도입"

아스트라제네카, 품목허가 절차 진행

화이자, '코백스' 도입 시 특례 수입

아시아경제

21일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에 마련된 찾아가는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시장 상인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고 있다. 중구는 "장사 등 영업으로 일과시간 중 가게를 비우기 어려워 선별진료소를 찾지 못하는 상인들을 위해 중구와 서울시과 협력해 시장 내부에 검사소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정부가 설 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 가능성을 제시한 가운데 국내에서 처음으로 접종이 될 백신이 무엇이 될 지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22일 의료계와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아스트라제네카(1000만명분), 얀센(600만명분), 화이자(1000만명분), 모더나(2000만명분) 등 총 56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한 상태다. 미국 노바백스와 2000만명분을 추가 확보하기 위한 협상도 진행 중이다.


이 중 당초 가장 빠른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던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의 백신이다. 현재 정부의 품목허가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유일한 백신이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오는 31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 대한 검증 자문단 회의를 열 예정이다. 식약처는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허가하기 전 ▲검증 자문단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최종점검위원회 등 3중의 자문 절차를 거쳐 심사하고 있다. 다음달 중으로 허가 여부가 결정날 전망이다.


아시아경제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이미지출처=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화이자가 국내 1호 백신이 될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당초 3분기 도입 예정이었지만 국제 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다음달 조달되는 백신이 화이자 백신으로 좁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20일 영하 70도 이하의 초저온 '콜드 체인' 유통에 필수적인 초저온 냉동고 생산 현장을 찾은 것도 이러한 전망에 힘을 싣는다. 화이자 백신은 효능 유지를 위해서는 콜드 체인을 통해 유통돼야만 한다. 그래서 유통과정에서의 부담이 크지만 예방효과는 95%로 아스트라제네카의 70%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당장 화이자 백신이 도입되더라도 정부가 목표로 하는 접종 시기를 맞출 수 있을지 미지수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달리 화이자 백신은 아직 품목허가 심사 이전인 사전 검토 단계에 놓여있다. 한국화이자는 "빠른 시일 내에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접종 시기를 맞추기 위해 화이자 백신에 대해 '특례 수입' 절차가 적용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위기 상황 대처를 위해 아직 국내 허가되지 않은 의약품을 수입하는 제도다. 질병관리청 등 관계 부처가 식약처에 이를 요청해 특례 수입이 결정되면 품목허가 없이도 수입이 가능해진다. 앞서 지난해 6월 코로나19 치료제인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렘데시비르가 도입될 당시에도 적용됐다.


당시 정부는 "미국, 일본, 영국에서도 렘데시비르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사용하도록 한 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현재 화이자 백신은 영국, 미국, 캐나다,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등에서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