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韓銀 “한국 경제 ‘추세 성장률’ 2% 수준으로 낮아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생산성 하락과 투자 부진 등으로 한국 경제의 ‘추세 성장률’이 2% 수준으로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추세 성장률은 경기 순환적 요인과 일시적 경제 충격 등을 제외한 성장률을 뜻한다. 자원을 총동원해 경제를 과열시키지 않고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성장률인 잠재성장률과는 다르다.

21일 한국은행의 ‘한국 경제의 추세 성장률 하락과 원인’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인당 실질 국내총생산(GDP) 추세 성장률은 연평균 2.0%로 분석됐다. 2000∼2009년 연평균(3.6%)보다 1.6%포인트 하락한 수준이다.

보고서는 “기술 혁신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증가세가 감소했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 투자 활동이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추세 성장률을 높이려면 딥러닝을 포함한 인공지능(AI), 신재생에너지 등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박희창 기자 ramblas@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