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실형 피하려던 노력들 무위로…3년 만에 또 ‘총수 없는 삼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장 영업에 큰 혼란은 없을 듯…대규모 투자는 차질 우려
‘실효성 미충족’ 판단 받은 준법감시위, 동력 약화 불가피
재계 “글로벌 기업 경영 공백으로 경제·산업 전반 악영향”

삼성전자는 18일 이재용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건 파기환송심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다시 수감되자 3년 만에 재현된 ‘총수 부재’ 상황에 침통한 분위기였다.

삼성전자 임직원들은 이날 사무실 등에서 초조하게 이 부회장의 선고 소식을 기다렸다. 선고 전에는 집행유예가 선고될 수 있다는 기대 섞인 전망도 있었지만 기대는 실망으로 바뀌었다. 삼성준법감시위원회 출범과 노조 설립 허용, 4세 경영은 하지 않겠다는 선언 등 여러 자정 노력들이 무위로 돌아간 허탈함도 감지됐다.

삼성전자는 이날 재판 결과에 대외적으로 공식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 재판부의 실형 선고를 존중한다고 할 수도 없고, 반발해서 좋을 것도 없는 딜레마적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당장 이 부회장이 없는 경영 시스템으로 돌아가게 된다. 재계에서는 반도체의 김기남 부회장 등 전문경영인 체제가 잘 구축돼 있어 당장 영업에 구멍이 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앞서 2017년 이 부회장이 처음 구속됐을 때의 경험도 있어 삼성전자 내부의 혼란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부회장이 부재했지만 2017년 삼성전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53조원대의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대규모 투자나 인수·합병(M&A) 결정은 차질을 빚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래 먹거리를 위한 투자가 지연되면서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걱정이다. 이 부회장 첫 구속 때도 임원 인사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고 한다. 삼성전자가 2016년 11월 자동차 전장 회사인 하만 인수 후 추가로 다른 기업을 인수하지 못한 것도 이 부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조 단위 투자를 많이 하는데 이 부회장이 아니면 내릴 수 없는 큰 결정들”이라며 “아무래도 감옥에서 듣고 판단하는 데에는 제약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준법감시위의 향후 행보에도 관심이 쏠린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독립적인 활동을 보장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준법감시위는 이날 재판부로부터 실효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는 판단을 받은데다 이 부회장이 구속됐기 때문에 향후 동력이 약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삼성전자 입장에선 활동이 미미하면 재판 때문에 억지로 만들었다는 부정적 시선을 인정하는 모양새가 돼 난감한 상황이다.

재계는 즉각 이 부회장의 부재가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입장문에서 “삼성그룹의 경영 공백이 현실화된 것에 대해 매우 우려한다”면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의 경영 공백으로 중대한 사업 결정과 투자가 지연됨에 따라 경제·산업 전반에도 악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배상근 전무 명의로 “(삼성의) 장기간 리더십 부재는 신사업 진출과 빠른 의사결정을 지연시켜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미덥 기자 zorro@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그 법들은 어떻게 문턱을 넘지 못했나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