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내방가사 속 조선 여성의 삶…'여성, 한글로 소통하다' 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
[국립한글박물관 제공]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은 내방가사 연구서 '여성, 한글로 소통하다-내방가사 속 여성들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내방가사(內房歌辭)는 조선 중기 이후 주로 영남지방 여성들이 창작하고 향유한 가사 작품을 말한다.

이 연구서는 양 기관이 소장한 내방가사 자료를 중심으로 고전시가·서예·국어학 전공자들이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불리고 있는 다양한 주제의 영남 지역 내방가사를 분석해 수록했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영남 지역 종가에서 기탁한 내방가사 자료 약 330여건을, 국립한글박물관은 약 260여건을 소장하고 있으나 그동안 개별 소장품들이 연구된 적은 없다.

연구서에서는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자기 인식, 현실 인식 등 여성들이 생각하고 고민해온 삶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또 내방가사에서 쓰인 한글 표기 및 어휘와 민체(民體)의 특성 등 한글의 언어·시각적 표기 체계도 함께 소개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번 연구서를 토대로 올해 10월 내방가사를 주제로 한 기획특별전을 개최하고, 한국국학진흥원은 향후 내방가사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데 기본 참고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국립한글박물관 관계자는 "내방가사는 조선 시대 여성들의 삶을 생생하게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이자 한글문화자원으로서 가치가 크고, 여성이 창작과 전승의 주체인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집단 여성문학"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서는 전국 주요 도서관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