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조달청, 혁신제품 지정‧지원 확대…지난해 283억 규모 시범사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87개 정부기관서 66개 혁신제품 시범구매

뉴스1

지난해 시범구매 주요 사례©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조달청이 지난해 혁신제품 345개 중 66개 제품을 시범구매대상으로 선정해 287개 기관에 283억원 규모의 시범사용을 진행했다.

‘혁신제품 시범구매사업’은 조달청이 혁신제품을 구매 후 공공기관에게 제공해 시범사용하고, 그 결과를 모든 공공기관이 공유함으로써 초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제도이다.

기관별로는 공공기관(지방공기업 포함) 113개, 지자체 95개, 중앙부처 47개, 기타 기관 32개 순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분야별로는 건강·안전 등 국민생활 분야 35개, 스마트공장·시티 13개, 바이오헬스·방역 4개, 미세먼지 3개 등으로 관련 산업 발전의 지원 및 공공시비스를 개선하는 효과를 거뒀다.

조달청 시범구매 사업규모는 2020년도 전체 혁신제품 구매액 1801억원 중 15.7%인 283억원에 달하며, 다른 기관의 혁신제품 구매를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 결과, 이노넷㈜의 ‘TVWS 배낭 와이파이’ 등의 우수사례가 다수 나타났다.

조달청은 혁신제품 시범구매사업 이외에도 혁신제품 구매 활성화를 돕는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시범구매에서 성공판정을 받은 제품은 우수조달물품 특례심사를 적용하는 혜택을 부여하며, 현재까지 4개 제품이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돼 올해 계약 예정이다.

혁신장터(범부처 혁신조달 정보 플랫폼)의 혁신제품 전용몰을 통해서 제품정보 제공, 구매 연계기능 제공 등 각 기관이 혁신제품을 쉽게 구매하도록 지원한다.

지난 11월 23일 제1회 혁신조달 경진대회를 개최해 혁신조달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기술혁신을 달성한 공공기관과 혁신기업을 선정한 바 있으며, 오는 4월 지역별 전시회도 개최할 계획이다.

김정우 조달청장은 “지난해 정부·공공기관·기업이 혁신제품 시범구매를 통해 혁신조달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게 됐다. 그에 따른 참여 확산으로 혁신제품 수요도 창출되기 시작했다”면서 “올해는 사업규모 확대를 통해 더 많은 기관 및 기업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혁신 창출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pcs4200@hanmail.net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