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등 조선 불교문화재 3건 보물 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륵원'명 청동북'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등 보물 지정

뉴스1

보물 제2108호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 ''미륵원'명 청동북'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 등 조선시대 불교문화재 3건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7일 밝혔다.

보물 제2108호 '문경 봉암사 마애미륵여래좌상'은 1663년(현종 4)에 제작된 마애불로, 경북 봉암사 옥석대(백운대)에 위치해 있다. 제작 시기와 주관자, 존상 명칭은 풍계 명찰(1640~1708)의 문집 '풍계집'에 수록된 '환적당대사 행장'을 통해 확인된다. 명찰은 17세기 승려 환적당 의천의 제자로, 이 책에 의천이 발원해 마애불을 조성한 사실이 기록돼 있다.

좌상은 높이가 539.6cm, 너비가 502.6cm 정도이며 머리 주변을 깊게 파서 광배 형상을 만들고, 위는 깊고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점차 얕은 부조로 처리됐다. 둥글고 갸름한 얼굴에 오뚝한 콧날, 부드러운 눈매, 단정히 다문 입 등으로 표현됐다.

특히 얼굴과 자세, 착의법 등 세부표현에서 '나주 죽림사 세존괘불탱'(1622), '구례 화엄사 영산회괘불탱'(1653)과 같은 17세기 괘불 표현요소를 찾아 볼 수 있어 불화와 상관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 불상의 수인(불보살을 상징하는 손모양)은 미륵불의 수인 중 하나인 용화수인으로, 두 손으로 긴 다발형의 꽃가지를 쥐고 있는 모양이다. 1663년이라는 뚜렷한 제작연대를 염두에 둘 때 마애불 도상이 확인된 기준작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뉴스1

보물 제2109호 ‘미륵원’명 청동북 – 정면.(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물 제2109호 ''미륵원'명 청동북'은 옆면에 오목새김(음각)으로 새긴 명문을 통해 1190년(고려 명종 20년) 미륵원에 걸기 위해 제작한 금고임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청동북은 공명구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두 가지 형식으로 나눠지는데, 이중에서 ''미륵원'명 청동북'은 뒷면이 뚫려 있는 형식으로, 이를 반자라고도 한다.

3개의 뉴(손잡이)를 가진 전형적인 고려 시대 청동북으로, 안쪽에는 16개의 꽃잎을 가진 연꽃이 당좌를 중심으로 배치됐다. 당좌 안에는 14개의 연꽃 씨가 돋움새김(양각)으로 배치돼 있는데, 표면이 다소 마모돼 원래 금속 색이 드러나 보이기도 하지만, 얕게 도드라진 양각으로 표현된 연꽃잎들의 배치가 균형감 있게 잘 구성돼 있다.

뉴스1

보물 제2110호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문화재청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물 제2110호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은 1808년(순조 8) 수화승 평삼을 비롯해 18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제작한 것으로, 20폭의 화폭을 붙여 높이 10m 이상 크기로 만든 대형불화다.

수화승 평삼은 40여년간 활동한 이력에 비해 남아 있는 작품이 약 11점으로 많지 않지만, 이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는 그가 본격적으로 수화승이 돼 17명의 대단위 화승들과 합작해 제작한 대표작 중 하나이다.

도상은 석가여래 삼존과 아난존자와 가섭존자, 6존의 부처를 배치한 간결한 구성이다. 화기에 '대영산회'라는 화제가 있어 영산회 장면을 그린 사실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날씬한 신체와 둥근 얼굴에 가늘게 묘사된 이목구비, 어린아이에 가까운 얼굴, 화려한 문양과 두터운 호분을 덧발라 입체감을 준 기법, 적색과 녹색, 청색과 흰색 등 다양한 색채를 조화롭게 사용한 점 등은 18세기 후반 괘불도 양식과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색감이나, 비례, 인물의 표현, 선묘 등은 19세기 전반기 화풍을 반영하고 있어 과도기적 양식을 보여주기도 한다.
lgir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