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0년, 개미 전성 시대가 열린 한 해다. 올해 들어 국내외 주식시장에서 똘똘하게 투자하는 개인투자자들도 늘어나면서다. 하지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빚투(빚내서 투자)’ ‘주식세끼(하루 세 번 매매)’ 같은 유행어에 잠재됐던 위험성도 드러나고 있다. 상승 랠리에 힘입은 개미 열풍이 거센 한 해였다.
◇개미가 떠받친 코스피...거래비중 70%까지 치솟아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부터 11일까지 개인은 코스피시장에서 45조5207억 원, 코스닥시장에서 16조9229억 원 어치를 각각 순매수했다. 양대 증권시장을 합쳐 62조4436억 원을 순매수했다. 지난해 코스피시장에서 11조8012억 원을 순매도한 행보와 대조적이다.
코스피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올해 1월 3조1861억 원에서 8월 11조4347억 원으로 껑충 뛰었다. 같은 기간 개인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49.5%에서 70.6%로 늘어나 개미들의 몸집도 한층 커졌다.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연속 70% 이상을 차지하다 10월 이래로 65%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주식 매수를 위한 대기성 자금인 투자자예탁금도 급증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61조3621억 원으로 집계된다. 지난해 말(27조3933억 원)에 비해 33조9688억 원 늘었다. 언제든 들어올 수 있는 실탄도 두둑한 셈이다.
국내 주식뿐만 아니라 해외주식 원정 투자 움직임도 활발했다. 한국을 벗어나 해외 주식을 사들이는 개인을 뜻하는 ‘서학(西學) 개미’라는 신조어도 생겼다. 코로나19 여파로 전 세계 증시가 회복하면서 해외 주식 투자로도 눈을 돌리는 개미들이 늘어나면서다.
한국예탁결제원 세이브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1일까지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순매수 금액은 185억1817만 달러(약 20조2811억 원)를 기록했다. 2018년 15억7000만 달러, 지난해 25억1000만 달러로 늘다가 올해 급증세를 나타냈다.
이 기간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주식은 테슬라(30억3448만 달러)였다. 같은 기간 상위 순매수 종목에 애플(약 17억3928만 달러), 아마존(약 8억8421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예탁금 증가액과 해외주식 순매수에는 국내 기관투자자의 몫도 포함돼 있다.
◇공모주 ‘빚투’ㆍ‘영끌’에 급증하는 가계 빚
한 푼 두 푼 모은 적금을 깨거나 은행에서 빚까지 얻어 ‘빚투’에 나서는 투자자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1일 기준 증권사로부터 돈을 빌려 주식을 산 금액(신용거래융자금)은 18조8487억 원에 달한다. 올해 초(9조 원대)보다 9조 원 이상 늘었다.
특히 IPO(기업공개) 공모주 청약에 ‘빚투’로 동참한 경향도 두드러졌다. ‘빚투’로 신규 상장주식을 사 ‘따상(공모가의 두 배 시초가 후 상한가)’을 바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올 하반기에는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 기업공개(IPO) 대어가 잇따랐다.
실제 IPO 대박을 노리는 투심에 대출 수요도 증가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1월 가계가 전체 금융권에서 빌린 돈은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18조3000억 원 늘어났다. 월별 기준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이중 증권사를 통한 대출이 3조8000억 원에 달하면서 주식담보대출 등 신용융자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10월 빅히트 공모주 청약에 이어 11월에도 일부 기업의 공모주 청약이 있었다”며 “공모주 청약에 필요한 증거금을 마련하기 위해 가계의 신용대출 수요도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지난 7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명신산업의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 마감일(11월 30일) 신용대출 증가액은 은행에서만 2조1000억 원에 달했다. 하루 뒤인 이달 1일 IPO가 확정되자 은행권 신용대출 규모는 1조2000억 원 줄었다.
주식 ‘빚투’ 부작용 우려가 커지자 금융당국도 신용대출 옥죄기에 나섰다. 도규상 금융위 부위원장은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회의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부채 증가 속도에 비해 채무상환능력 개선이 더디게 진행되는 경우 실물경제는 물론 금융 건전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내년 1분기에 실제 상환능력을 감안한 대출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투데이/유혜림 기자(wisefores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