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납토성 1토루에 박힌 나무기둥 |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백제 한성(漢城)도읍기(기원전 18년∼475년) 도성터로 유력한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은 폭 40∼50m, 추정 높이 11m에 둘레 길이가 약 4㎞인 대형 토성이다.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최근 풍납토성 서쪽 성벽을 조사하던 중 성벽 축조 방법과 증축 증거를 발견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소는 이번에 축조 방법 확인을 위해 성벽을 평면으로 절개해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토루별로 성벽을 쌓아 올리기 위해 시설한 나무기둥들을 찾아냈다. 토루는 풍납토성의 몸체를 이루는 흙더미를 말한다.
연구소 측은 "나무기둥이 토루 하단부터 켜켜이 수직으로 박혀 있는데 흙을 더 높이 쌓아 올리기 위한 구조물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서성벽 평면조사 구역 |
풍납토성은 중심골조에 해당하는 1토루를 쌓아 올린 후 수차례 토루를 덧대어 2·3토루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축조됐다.
현재 조사 구간 중 1토루에서는 1토루에서는 길이 60∼70㎝의 나무기둥을 88∼162㎝ 간격으로 총 6단으로 박아 시설한 것이 확인됐다. 이런 나무기둥은 2토루와 3토루에서도 발견됐다.
또 2토루와 3토루 경계에서는 성벽 경사면과 역방향으로 박힌 나무기둥과 기둥을 받치기 위한 석재가 확인됐다.
이보람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역경사 나무기둥은 풍납토성 성벽에서 처음 확인된 것으로 성벽을 쌓아 올리기 위한 공법이나 성벽 시설물의 일종으로 추정된다"면서 "이번에 서성벽에서 발견된 나무기둥은 성벽 축조 방법과 공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라고 말했다.
2∼3토루 사이에서 확인된 부석시설 및 목재·나뭇잎층 |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 성벽을 축조한 이후 증축한 증거로 토루 사이에서 얇게 깐 돌인 부석(敷石)도 발견됐다.
연구소에 따르면 부석은 처음 흙을 쌓아 올린 초축면인 1·2토루와 이후 증축한 3토루 사이에서 확인됐다. 우선 1·2토루를 축조한 뒤 그 위에 얇은 돌을 깔아 성벽을 보강했으며, 이후 다시 그 위에 3토루를 쌓아 올렸던 흔적이라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풍납토성 증축과 관련해서는 지난 1999년, 2011년 발굴조사 이후 지속해서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증축 공법에 대한 해석은 분분한 상태였다.
앞서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2017년부터 풍납토성 서성벽 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서성벽의 규모, 구조와 함께 서문 터를 확인했다.
연구소는 "이번 나무기둥의 발견으로 그동안 논란이 됐던 풍납토성의 축조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증축의 확실한 근거를 밝혀 풍납토성 축조방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발굴조사 현장 |
이번 조사 성과는 오늘 오후 2시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chluvu)에서 공개된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