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순배출 제로 실현 목적…'CCUS' 이미 가동되는 곳도
EAS 에너지장관 회의서 논의…내년부터 매장 후보지 리스트 작성
보도에 따르면 아시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현지에 매장하면 일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상쇄할 수 있어, 일본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실질 제로(0)'를 실현하는 유력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
앞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지난달 26일 임시국회 소신표명 연설을 통해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임시국회에서 소신표명 연설하는 스가 일본 총리 |
온실가스 순배출 제로를 실현하려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숲이 흡수하는 양 등과 동일한 수준으로 억제해야 한다.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수소 활용을 추진해도 철강과 화학 등의 산업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계속돼 순배출 제로를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고 니혼게이자이는 평가했다.
따라서 온실가스 실질 제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 이산화탄소를 분리, 회수해 지하에 저장하는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관련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CCS에 이산화탄소 이용(utilization)을 더한 기술이 'CCUS'다.
전세계에서 약 60건의 CCUS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고, 이중 약 20건이 가동되고 있다.
북미에선 이미 일부 실용화됐고, 유럽에선 각국에서 수집한 이산화탄소를 북해에 매장하는 실증 실험이 시작됐다.
일본의 홋카이도(北海道) 도마코마이([草+占]小牧) 앞바다에서 30개 일본 기업이 제휴해 실증 실험 중이다.
타국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지하 및 해저 매장에 협력해도 자국의 배출분이 상쇄되는 국제 기준이 있어 국가 간 협력이 추진되고 있다.
이달 중 열리는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에너지 장관 회의에선 이산화탄소 지하 매장에 관한 새로운 방향성을 확인한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전했다.
우선 내년부터 아시아에서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후보지 리스트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유전 및 가스전이 많은 아시아에는 저장 후보지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70년에 되면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 삭감분의 15%를 CCUS가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hoj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