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국악 한마당

국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정치용과 9년 만에 재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0 마스터피스-정치용' 25일 공연

초연 이후 재공연 안한 레퍼토리 조명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은 ‘2020 마스터피스-정치용’을 오는 25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공연한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이 25년간 축적해 온 레퍼토리 중 초연 후 재공연하지 않은 작품을 조명하는 무대다. 지난 9월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연기해 약 2개월 만에 관객과 만나게 됐다.

지휘자 정치용은 서양음악은 물론 우리 음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바탕으로 동시대 창작음악의 가능성을 열어왔다. 서울대 작곡과를 거쳐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에서 현대음악 해석의 거장 미하엘 길렌으로부터 지휘를 배웠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을 비롯해 국내 유수의 교향악단을 이끌었다. 2018년부터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창단 연주회, 이영조 오페라 ‘처용’의 2013년 국립오페라단 공연, 최우정의 오페라 ‘1945’ 2019년 초연을 지휘하며 동시대 한국 창작음악 작업에 꾸준히 참여해왔다. 국립국악관현악단과는 2011년 창작음악회 ‘파트 오브 네이처-사람, 자연의 울림’ 이후 9년 만에 함께 한다.

정치용은 “새로운 작품을 발굴해 대중과 연결해주는 가교가 되는 것이 지휘자의 또 다른 역할이라고 생각한다”며 “특히 한국적 정서를 담아내는 창작 활동을 선보여 온 국립국악관현악단의 명곡을 발굴하는 작업을 함께할 수 있어 더욱 뜻깊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번 공연에선 ‘메나리토리에 의한 국악관현악-강, 감정의 집’(최지혜 작곡), ‘긴 아리랑’(장석진 재작곡), ‘문묘제례악에 의한 국악관현악-아카데믹 리추얼, 오르고 또 오르면’(김택수 작곡), ‘남도시나위에 의한 3중 협주곡-내일’(김성국 작곡) 등을 연주한다. 이예린(플루트), 김영길(아쟁), 원완철(대금), 이재하(거문고) 등이 협연자로 나선다.

본 공연에 앞서 13일 저녁 7시 30분 서울 중구 국립극장 국립국악관현악단 연습실에서 관객 아카데미 ‘청음회’를 개최한다. 작곡가 김성국·김택수·최지혜·장석진이 작품의 작곡 의도와 감상 포인트를 직접 들려준다. 참가 신청은 국립극장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이데일리

정치용 지휘자와 국립국악관현악단이 함께 한 2011년 ‘파트 오브 네이처’ 공연의 한 장면(사진=국립극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