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25일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산업 전환의 기회로 활용해야' 보고서에서 "글로벌 산업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기술적 불확실성과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한 한국형 장기 비전과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산화탄소 배출 (PG) |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국들은 글로벌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과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성장동력으로서 저탄소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수립 중이다.
한국도 저탄소화의 부문별 실현 가능성, 온실가스 감축 수단 등을 담은 정부안을 마련 중이며 연말까지 유엔(UN)에 제출할 계획이다.
주요국의 산업부문 저탄소화 핵심 전략은 에너지 효율성 향상과 에너지 전환, 자원 순환으로 요약된다.
먼저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에너지 소비를 줄임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또 산업부문 최종에너지 소비를 화석에서 전기, 신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로 대체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공정에서 자원을 재이용·재활용하는 자원 순환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노력 중이다.
보고서는 "한국도 저탄소 연료·공정, 저감 설비 등 혁신기술 확보에 주력하는 동시에 그린수소와 그린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및 적정 가격 형성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보고서는 저탄소화를 강력하게 추진하는 주요국들과는 상이한 산업구조를 가진 국내 현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국(26.9%)은 중국(28.1%)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국가총생산 대비 제조업의 비중이 높다. 반면에 서비스업 비중은 54.8%로 70% 수준인 미국, 영국, 프랑스보다 낮은 편이다.
보고서는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주요국들의 저탄소화 경로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우리 산업구조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전략"이라며 "온실가스 감축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적극적 대응과 인센티브를 통한 능동적 감축 환경 마련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인 과제로는 ▲ 그린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및 합리적 가격의 보장을 위한 정책 마련 ▲ 다(多)배출 산업인 철강의 코크스 공정 및 석유화학의 납사 이용 등의 원료 대체를 위한 정부 주도 기술혁신 투자 ▲ 제품 디자인·생산·소비·폐기 등 전 과정에서 환경부하 최소화 방안 모색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 등의 충실한 이행 등을 제시했다.
bryoo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