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2 (토)

이슈 이건희 삼성 회장 별세

[이건희 별세] 46세에 회장 오른 이건희, 그의 경영 27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이건희 회장이 1987년 회장 취임사를 하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故) 이건희 회장은 1979년 부회장에 선임된 뒤 본격적인 경영수업을 쌓았다.

특히 이건희 회장은 이병철 창업주의 셋째아들로 형인 이맹희 전 CJ그룹 명예회장과 이창희 전 새한그룹 회장을 제치고 삼성그룹 경영 후계자에 올랐다. 이를 놓고 다양한 관측이 나오지만 이병철 창업주는 이건희 회장의 경영능력이 뛰어나 그룹을 물려주기로 결정했다는 뜻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8년간 후계자 수업을 받은 이건희 회장은 1987년 11월 19일 이병철 선대 회장의 타계 이후 10여 일이 흐른 12월 1일 제2대 삼성그룹 회장에 올랐다. 당시 이 회장의 나이는 46세였다.

1987년 이건희 회장이 삼성그룹 제2대 회장으로 오르자마자 소비에트연방의 붕괴 조짐과 중국의 경제개방 등 국제적으로 큰 변화가 이어졌다. 그는 취임 직후부터 이런 대격변기에 대응해 그동안 내수시장에 집중됐던 삼성그룹의 사업을 글로벌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이 회장은 취임사에서 사업보국, 인재제일, 합리추구 등 창업주의 경영이념을 계승하면서 90년대까지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기업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는 의지를 불태웠다. 이후 이 회장은 수년간 품질경영에 혼신의 노력을 쏟아부었다.

1987년 경영 승계 이후 2014년 입원 전까지 약 27년 동안 삼성그룹을 이끈 이건희 회장의 경영 결과는 크게 반도체·가전·스마트폰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른바 ‘신의 한 수’를 두며 세계시장에 ‘삼성’이란 글로벌 브랜드를 일구었다.

이 회장은 역발상,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으로 주요 사업을 이끌어 왔다. 삼성이 반도체·가전·스마트폰 시장에서 1등이 될 수 있었던 것도 반대를 무릅쓰고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일례로 이 회장은 1990년대 초 디지털 시대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을 예견하며 반도체 사업에 승부수를 띄었다. 1993년 당시 세계 표준인 반도체 웨이퍼 6인치를 앞지를 수 있는 8인치 웨이퍼를 양산키로 한 것이다. 양산에 실패할 경우 1조 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돼 임원진들의 반발이 거셀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회장은 ‘반도체 산업은 타이밍’이라는 자신만의 경영 철학을 고수하며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같은 해 10월 일본을 제치고 메모리 반도체 분야 세계 1위에 올랐다.

1995년에는 500억 원에 해당하는 비싼 전자기기들을 태우면서 ‘양(量)이 아닌 질(質) 경영’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 사건은 그룹 전 직원들에게 긴장감을 불어넣기 위한 일종의 극약처방이었다. 화형식 이후 7년 반이 지난 2002년부터 글로벌 휴대폰시장 3위에 오르며 입지를 다지기 시작했다.

이투데이

이건희 회장이 1987년 회장에 취임하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TV시장 역시 이 회장의 영감과 결단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그는 2000년 신년사를 통해 새 천 년이 시작되는 그해를 ‘삼성 디지털 경영의 원년’으로 선언했다. 인재와 기술을 모두 모아 사활을 걸고 TV를 만들 것도 주문했다.

그는 당시 “아날로그 시대에는 출발이 늦었지만 디지털 시대에는 출발선이 같다. 우리도 1등을 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브라운관에서 디지털 TV로 전환되면서 일본 기업은 현실에 안주했지만, 삼성은 LCD 등 디지털 TV에 과감한 투자를 하며 승부수를 던졌다.

이 같은 품질경영에서 시작된 이 회장의 경영신념은 반도체와 TV로 전파되면서 삼성이라는 브랜드를 글로벌 초일류기업으로 성장한 밑거름으로 작용했다.

“기업경영은 ‘1+1=2’가 아니라 최소한 ‘5’는 돼야 한다. 둘을 더한 결과가 둘로만 나온다면 굳이 조직이 있을 필요가 없다.” (이건희 에세이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 中) 이 회장은 삼성이 이미 진행되고 있는 사업을 쫓아가는 ‘문제 해결형’ 기업보다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기를 바랐다.

그리고 끝내 삼성을 ‘선도형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그는 누구보다 ‘앞서’ 생각했고, 누구보다 ‘먼저’ 움직였고, 누구보다 ‘멀리’ 내다봤다. 주변의 반대로 때론 고독한 시간을 보내기도 했지만, 결국 세상이 그의 눈짓, 몸짓, 말 한마디에 기울이게끔 했다.

[이투데이/송영록 기자(syr@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