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삼성 생산기지 넘어 R&D까지… 베트남과 ‘동행’ 약속한 이재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재용(오른쪽 세 번째)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21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 삼성전자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찾아 바로 곁에 있는 노태문(네 번째) 무선사업부장(사장)의 설명을 들으며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삼성전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더 힘을 내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9일부터 나흘간 베트남 출장 기간 중 임직원들에게 강조한 메시지다.

이 부회장은 지난 14일 네덜란드 출장에서 귀국한 지 닷새 만에 다시 여행 가방을 꾸려 삼성전자의 해외 최대 완제품(세트) 생산 기지로 평가받는 베트남을 찾아 글로벌 경영 전략을 가다듬었다. 노태문 무선사업부장(사장), 한종희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 이재승 생활가전사업부장(부사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등 스마트폰·TV·가전·디스플레이 사업부의 책임자들이 출장에 동행해 베트남 생산 기지의 중요성을 가늠케 했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베트남 출장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어떤 큰 변화가 닥치더라도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우자”면서 “위기 속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뒤처지는 이웃이 없도록 주위를 살피자. 조금만 힘을 더 내서 함께 미래로 나아가자”며 ‘동행 비전’을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21일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 인근 삼성복합단지를 찾아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생산 공장을 점검했다. 베트남은 갤럭시 스마트폰 출하량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는 삼성전자의 최대 스마트폰 생산 기지다. 이 부회장은 이날 호찌민의 삼성전자 TV 및 생활가전 생산 공장을 살펴보는 것으로 공식 출장 일정을 마무리했다.

특히 이 부회장은 지난 20일 응우옌쑤언푹 베트남 총리와 면담을 가졌는데 이를 통해 베트남 생산 기지에 대한 삼성전자의 전략을 엿볼 수 있었다. 이 자리에서 이 부회장은 “삼성은 제조뿐만 아니라 연구개발(R&D)에도 투자했고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도 베트남 기업들과 협력해 왔다”고 말했다. 베트남을 단순히 저임금 노동자를 활용한 생산 공장으로 치부하지 않고 R&D에서도 중요한 기지로 활용할 것이란 의미다.

이번에 이 부회장이 베트남을 찾은 핵심 목적 중 하나도 삼성전자가 지난 3월 하노이에 건설을 시작한 ‘베트남 R&D센터’를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이곳에서는 모바일 기기 관련 스프트웨어·하드웨어 인력 3000여명이 근무하게 된다. 동남아 최대 규모(연면적 약 8만㎡)로 2022년 완공한다.

이 부회장은 푹 총리와의 면담에서 “호찌민 법인을 방문해 사업 현황과 함께 투자 확대 필요성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쑥 총리는 삼성의 호찌민 법인을 수출가공기업(EPE)으로 지정하는 결의서를 최근 발행했다고 말했다. 입주 기업에 각종 세제 혜택을 주는 제도다. 조건이 더 좋아지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생활가전, TV 등에서 투자를 늘릴 수 있지 않냐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푹 총리가 이번 면담까지 총 세 번이나 요청한 반도체 생산 라인 투자는 성사가 쉽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베트남에는 반도체 전문인력은 물론 고객사도 많지 않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는 일단 반도체 신규 투자보다는 베트남 R&D센터 건설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