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두산퓨어셀, 수소발전의무화제도 도입 수혜 '목표가↑' - 삼성증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증권은 22일 두산퓨어셀에 대해 수소발전의무화제도(HPS) 도입 수혜로 내년 초 제도화와 발주가 예상된다며 목표가를 6만3000원으로 상향하고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했다.

삼성증권은 이날 두산퓨어셀에 대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2.2% 상승한 1470억 원, 영업이익은 125억 원(전년대비 흑자전환)으로 예상했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상반기 지연됐던 제품 인도로 매출액이 호조되고 당사 추정치를 상회했다"며 "LTSA(장기유지보수서비스) 비중이 낮아지면서 영업이익률은 7.2%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임 연구원은 "1분기 출하가 지연됐던 국내공장 제품 출고 지속 및 상품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성 높은 LTSA(장기유지보수서비스) 매출이 170억 원으로 비중이 9.8%"라며 "LTSA 매출 비중은 8%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증권은 두산퓨어셀이 SOFC 기술개발 로드맵을 발표한 것을 주목했다. 두산퓨어셀은 10월 영국 Ceres Power와 기술 도입을 계약 체결하고 2021년 공장을 착공, 2023년 기술개발 및 공장을 완공할 계획이다. 투자비는 724억 원이며, 자금 조달은 증자를 통해 213억 원, 나머지는 내부자금 충당할 것이라고 임 연구원은 설명했다.

임 연구원은 "15일 2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발전 의무화 제도를 발표했고, 2040년 내수시장에서 8GW 발전을 위해 연평균 350~400MW 기자재 발주가 필요하다"며 "내수시장에서 M/S 70% 유지 시 2023년 이후 매출 1조5000억 원~2조 원 달성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이투데이/김하늬 기자(honey@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