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라임·옵티머스 사태

라임ㆍ옵티머스 사기, 증권ㆍ은행 등 금융권 양대협회 ‘수장’ 자리까지 불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투데이

은행연합회 자료=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투데이

금융투자협회 자료=금융투자협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임ㆍ옵티머스 사모펀드 사기 사건의 불똥이 은행과 증권 등 금융권 양대 협회장 자리까지 튀고 있다. 이 두 사건에 금융감독당국 직원들이 연루됐다는 의혹까지 가세하면서 차기 은행연합회 회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던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 행보에도 생채기가 났다. 라임사태로 중징계 통보를 받은 나재철 금융투자협회장 역시 운신의 폭이 좁아질 전망이다.

라임펀드에는 강기정, 기동민 등 정치인들이, 옵티머스에는 이헌재, 채동욱, 김진훈, 양호 같은 전직 고관, 장군, 은행가가 등장한다. 특히 검찰이 지난 13일 옵티머스자산운용(옵티머스) 측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알선수재)로 금융감독원 윤모 전 국장(61)의 자택을 압수 수색을 한 전후로 옵티머스-금감원 유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연합회는 국정감사 이후 차기 회장 인선을 위한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달 열릴 이사회에서 차기 회장 후보 추천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사회는 4대 은행, 특수은행, 지방은행 등 10개 회원사 은행장으로 구성돼 있다. 이사회 추천 뒤엔 22개 정회원사가 참여하는 총회 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어야 회장에 오를 수 있다. 은행연합회는 자산 규모와 업권의 중요도 등으로 볼 때 6대 금융협회 중 가장 위상이 높다는 평가다.

지금껏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이정환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 등 중량급 인사가 후보자로 하마평에 올랐다.

하지만 뜻밖의 변수가 하마평 지도를 바꾸고 있다. 라임ㆍ옵티머스 사모펀드 사기 사건이다. 국회 국정감사에선 1조6000억 원대 피해를 낸 라임ㆍ옵티머스 펀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와 금융당국의 부실 감독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또, 금감원은 옵티머스 측과의 유착 의혹으로 ‘관피아’ 논란에 여론 마저 싸늘해졌다.

사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관피아’에 다소 우호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다.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 및 핀테크(금융기술)와의 ‘기울어진 운동장’ 규제 등으로 ‘힘센 회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기 때문이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는 “은행연합회장은 금융산업을 대표해 금융당국과 수시로 협의하고 회원사와 함께 금융산업 발전을 논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금융노조의 산별 노사관계 파트너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회장으로서 금융노조와 근로조건 교섭을 수행하는 막중한 자리”라며 “회장 역할과 권한의 무게가 막중한 만큼 인선도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서 전문성, 현장 경험, 리더십 등 자질과 능력 검토뿐 아니라 공직자 이해 충돌 문제도 고려돼야 한다는 게 금융노조의 주장이다.

금융노조는 “신임 회장 후보들이 금융발전과 혁신을 이끌어갈 인사인지 면밀히 검증하겠다”며 “‘관치 금융’, ‘밀실·낙하산 인선’에서 벗어나 투명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하는지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현재 민병두 전 국회 정무위원장은 한국거래소 이사장 후보로 거론된다.

또한, 금융투자협회도 라임·옵티머스 불똥이 어디로 튈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금감원은 라임 사태와 관련한 두 번째 제재심을 오는 29일 판매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연다. 금감원은 신한금융투자, KB증권, 대신증권 등 3곳 최고경영자(CEO)들에게 ‘직무 정지’를 염두에 둔 중징계를 사전 통보한 상태다.

중징계가 최종 결정돼도 전직 대신증권 CEO였던 나재철 현 금융투자협회장의 경우 법적으로 직무수행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회사 취업이 4년간 제한되지만, 금투협은 금융회사가 아닌 민간 유관기관이기 때문이다.

윤석헌 금감원장은 지난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부실 사모펀드 판매가 일부 직원의 일탈 행위라는 주장에 대해 “직원의 일탈 행위가 생긴다는 것 자체가 내부 통제가 작동하지 않은 결과”라며 내부 통제 부실 문제를 지적했다.

[이투데이/유혜림 기자(wiseforest@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