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화웨이·틱톡 이어…트럼프 행정부, 마윈의 '앤트그룹' 제재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앤트그룹 ‘알리페이’·텐센트 ‘위챗페이’ 겨냥

앤트그룹, 세계 최대 규모 IPO 추진…차질 예상

이데일리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조민정 인턴기자]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의 금융 자회사 앤트그룹과 텐센트 홀딩스의 중국 전자결제 시스템에 대한 제재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웨이와 틱톡에 이어 중국을 겨냥한 조치로 해석된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익명의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아직 최종 결정이 내려진 건 아니지만 지난 몇 주 동안 행정부 고위 관리들이 앤트그룹의 알리페이와 텐센트의 위챗페이 제재 여부와 방식에 대해 논의했고 지난 9월 말 회의를 진행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관리들은 중국의 핀테크 플랫폼이 전세계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독점할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이 수억명의 개인 데이터와 은행 업무에 접근할 수 있어 미국의 보안이 위협받는다는 것이다.

앤트그룹은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지분 50.5%를 보유한 기업으로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를 운영하며 중국 결제 시스템을 지배하고 있다. 제품 구매부터 재산 관리·보험·신용 조회·소비자 대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해당 플랫폼 없이는 사실상 경제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다.

앤트그룹은 상하이와 홍콩에서 2500억달러(한화 약 289조원) 규모의 세계 최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가 앤트그룹 제재를 취할 경우 IPO 진행에 차질이 예상된다.

블룸버그는 다만 결제 시스템 제재 안건이 빠르게 진전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아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안건이 전달되지 않은 데다가 논의 직후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 판정으로 진전을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중국의 전자결제 시스템이 미국 보안에 문제가 된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하기도 어렵다.

앤트그룹은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사업체는 대부분 중국에 있고 우리는 중국시장 내 성장 가능성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며 미국 행정부 논의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백악관은 아무런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