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자료를 살피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0.10.07.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가 말린다고 말려질 사람이 아닙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외교부 국감에서 남편 이일병 연세대 명예교수의 '미국 요트 투어'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강 장관의 인간적인 고백에 가까운 이 말에 질의를 한 이 의원을 포함해서, 외통위 의원들 대다수가 웃음을 보였다. 이 의원은 "경위를 떠나 송구스럽다고 하니까,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이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보다는 훨씬 낫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국민들을 실망시킨 일이 됐기에 (강 장관이) 몸을 낮추는 건 당연하다"라고 언급했다. 강 장관은 연일 이번 건과 관련해 "송구하다"는 말을 하는 중이다.
강 장관은 이날에도 국감 시작과 동시에 "경위를 떠나 매우 송구하게 생각한다"라고 말하며 고개를 숙였다. "많은 의원들께서 (남편 문제와 관련해) 질의와 질타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성실하고 진솔하게 답을 드리겠다"는 말까지 하며 자세를 낮추는 모습을 보였다.
강 장관의 태도 덕인지, 이날 '남편 리스크'는 크게 이슈가 되지 않았다. 강 장관은 코로나19(COVID-19) 상황 속에서도 미국 여행길을 열어두려 했던 외교적 노력들을 회고한 후 "국민들께서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로 심리가 위축된 상황 속에서 물의를 일으킨 게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저도 기사가 나온 것을 보고 놀랐다"라면서도 "(한국 망명에 있어) 외교부가 역할은 충분히 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상세한 내용을 말하기는 곤란하다"는 말을 추가했다.
강 장관은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방미 추진설과 관련해 "논의한 바 없다"고 밝혔다. 자신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적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제가 밝힐 사안이 아니다. 답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북한에 의해 우리 공무원이 사살된 사건에도 불구하고 "종전선언은 평화 프로세스의 일부분으로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피해자 가족들의 아픔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도 십분 공감하고 있다. 유가족들을 뵙고 (말을) 경청해 보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