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장엽 이후 北 최고위급 인사
공무원 피격 맞물려 ‘파장’ 주목
조성길 전 이탈리아주재 북한 대사대리가 작년 7월 한국으로 입국해 체류중인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지난 2018년 11월 이탈리아에서 부인과 함께 돌연 잠적한 뒤 9개월만에 한국행을 선택한 것이다. ▶관련기사 6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행은 1997년 황장엽 전 노동당 국제비서 이후 22년만의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한국 망명이다.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2011년 이후 북한의 대사급 외교관 망명 사례로는 처음이기도 하다. 일각에선 북한의 남측 공무원 총격 피살 사건이 벌어진지 얼마 안된 시점에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 망명 사실이 드러나면서 남북관계에도 적잖은 파장을 미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조 전 대사대리는 1975년생으로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어 등 4개국어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2015년 5월 3등 서기관으로 이탈리아에 부임했으며 2017년 이탈리아가 북한의 잇단 핵·탄도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당시 문정남 대사를 추방하면서 1등 서기관으로 승진해 대사대리를 맡았다. 2018년 11월 말 임기 만료를 앞두고 같은 달 10일 대사관 직원들에게 산책을 다녀오겠다고 말하고 대사관을 떠난 뒤 부인과 함께 잠적했다. 조 전 대사대리의 이후 행적과 관련해서는 미국을 비롯해 영국과 스위스 망명설부터 이탈리아 체류설 등이 쏟아졌지만 이번에 뒤늦게 한국 망명이 확인된 것이다.
조 전 대사대리의 출신성분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린다.
조 전 대사대리의 망명 배경으로는 임기 만료 뒤 평양 복귀를 앞둔 상황에서 자녀문제와 함께 국제사회의 강화된 대북제재로 북한 최상류층에 사치품 등 물품 조달이 어려워지자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관측이 있었다. 북한의 이탈리아 대사관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 등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기구와의 논의 창구이자 김 위원장을 비롯한 최상류층에 사치품 등 이른바 ‘1호 물품’을 제공하는 통로역할을 해왔다.
북한은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행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북한은 태 의원이 한국으로 들어왔을 때도 거친 비난을 쏟아낸 바 있다. 또 해외에 나가있는 외교관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도 한층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신대원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