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서울시, 코로나19 고용위기 대응 위해 일자리 1만개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일자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일자리 1만개를 지원한다. 고용 취약계층인 무급휴직 근로자와 취업 한파에 시달리는 청년, 취업 취약계층인 실직자와 프리랜서가 대상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고용위기 극복대책’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지원이 가장 시급하고 절실한 3대 취약계층에게 총 235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우선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일하던 업체의 영업이 중단되는 바람에 무급휴직에 내몰린 근로자에게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한다. 총 5,500명에게 1인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이달 중으로 신청을 받아 다음달부터 2개월간 무급휴직 근로자에게 직접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7월 1일 이후 서울지역 50인 미만 기업체에서 5일 이상 무급휴직한 근로자 중 고용이 유지되고 있는 근로자다. 해당 업체가 소재한 자치구에 신청서와 증빙서류를 접수하면 된다. 서울시는 지원자 선정기준에 따라 5,500명을 일괄 선정해 자치구를 통해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신규 채용 축소로 취업 한파를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는 ‘서울형 강소기업’에서 청년인턴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신규 채용 계획이 있는 서울형 강소기업 200개사에 2명씩 매칭해 총 400명의 청년인턴을 운영한다. 서울형 강소기업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조직문화와 고용안정성, 높은 급여수준을 가진 기업이다. 현재 총 661개가 있으며 서울시가 일·생활 균형, 성평등, 기업역량, 정규직 비중, 임금 수준, 근무 환경, 청년 일자리 창출 가능성 등을 따져 선정한다.

서울시는 청년인턴에게 2개월간 월 250만원의 급여를 지급한다. 또 현직자 및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직무역량 향상 프로그램도 지원해 현장경험을 집중적으로 쌓을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청년인턴의 정규직 채용 시 근무환경개선금(인당 1,000만원) 외에 인당 200만원의 추가 인센티브를 해당 기업에 지급한다.

저소득층, 실직자, 휴·폐업자, 특수고용, 프리랜서 등 취업 취약계층 4,528명에게는 공공일자리를 제공한다. 2개월간 주당 40시간 이내로 근무하며 월 최대 180여만원의 급여를 지원한다. 생활방역 지원, 방역수칙 단속 보조요원,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등이 대상이며 서울시는 이달 중으로 25개 자치구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개별사업에 대한 모집공고를 시작할 방침이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재확산과 장기화에 따른 고용위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업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보강대책을 마련했다”며 “신속하게 지원하는 동시에 서울의 고용상황을 면밀히 살펴 지원이 절실한 곳에 집중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성기자 engine@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