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 소식에 한국은행 등 외환 당국은 이 사건이 환율 등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코로나19 확진판정은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키우기 때문에 달러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반응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적정 외환보유액에 대한 얘기도 다시 나올 수 있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89억5000만 달러(약 497조2936억 원)로, 전월(4165억3000만 달러)보다 24억2000만 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이 증가한 요인으로 외화자산 운용수익, 미국 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 증가 등을 들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외환보유액이 바닥난 것과 비교하면, 현재 코로나19 위기 상황속에선 충분한 외환보유액이 방파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하지만 적정 외환보유액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논쟁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분분하다. 미국처럼 달러를 찍어낼 수 있는 국가가 아닌 비기축통화국의 경우 큰 문제가 없지만 한국과 같은 규모의 국가는 대외개방성, 수출의존도,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연간 수출액의 5% ▲통화량(M2)의 5% ▲유동외채의 30% ▲외국인 증권 및 기타투자금 잔액의 15% 등 네 가지 항목을 합한 규모의 100~150% 수준을 적정 외환보유액으로 제시하고 있다. IMF 기준으로 봤을 때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적정한 수준에 부합한다.
다만 국제결제은행(BIS)이 2004년 내놓은 적정 외환보유액 규모에는 미달한다. BIS는 석 달치 수입액과 유동외채, 외국인 주식 투자자금 3분의 1을 합친 금액을 적정 외환보유액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기준으로 보면 한국의 적정 외환보유액은 6000억달러 수준으로 점쳐진다. 외환보유고를 더 튼튼하게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대체로 BIS기준을 근거로 제시하기도 한다.
최진호 KB금융 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KB지식비타민 - 적정 외환보유액에 대한 이해'에서 "선진국과 신흥국간의 이질적 성향을 고려하면, IMF의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국가들이 당장 외환·금융위기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예상하지 못한 외부 충격이 장기화될 경우 불안 요인이 확대될 위험성이 잠재되어 있다는 해석은 가능하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