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에코뷰#2] 쓰레기 대란, 개인 실천만으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 아냐. 쓰레기박사 홍수열 소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인터뷰

- 코로나19로 닥친 2차 쓰레기 대란

- 소비자가 생산자의 방식을 바꾸려는 시도 필요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언젠가부터 까페에서도 일회용 종이컵이나 플라스틱 빨대 대신 개인 컵을 사용하는 환경 지킴이들이 많아졌다. 개인이 할 수 있는 쉬운 것부터 라도 시작하려는 움직임이 내심 반가웠었다. 하지만 이 작고 소중한 행동들도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장벽을 만나 빛을 잃고 있다. 더 빈번해진 음식 배달과 보건 위생을 위한 일회용품 사용 권고 등으로 이전보다 플라스틱과 비닐 사용량이 급증한 이유다.

가정용 분리배출 바구니에서도, 아파트 분리수거 함에서도 이미 과하게 넘쳐나고 있는 이 쓰레기 더미들은 우리 손을 떠나 또 어디로 가서 산을 이루게 될까? 나는 제대로 버리고 있는가? 분리배출을 열심히 하면 정말 작게나마 환경에 도움이 될까?

에코뷰 2회차에선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홍수열 소장님을 모셨다. 선하디 선한 웃음으로 그나마 알고 있던 분리 배출 상식을 촌철살인으로 깨뜨려 주신 쓰레기 박사님 과의 인터뷰. 이 인터뷰의 긍정적 후유증이 생겼는데, 분리 배출을 할 때마다 홍 소장님의 공식이 머리 속에 노래 가사처럼 떠오른 다는 것.

헤럴드 CUT | 에코뷰 (에코인터뷰, 환경을 보는 눈 Eco View) - 10분의 에코인터뷰로 2030년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그린뉴딜 정책으로 인해 순환경제가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아껴 쓰고 재활용하면 좋다는 것은 막연하게 알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순환경제가 대두된 배경은 무엇인가?

▶순환경제는 말 그대로 쓰고 버리는 선형적인 구조가 아니라, 이미 사용된 자원을 다시 쓰자는 용어다. 이는 천연자원의 소비 자체를 줄일 수 있고, 쓰레기 배출의 양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순환경제가 대두된 배경은 크게 두 가지라고 볼 수 있는데 자원고갈과 플라스틱 쓰레기가 주 원인이다. 우선 지구 자원은 유한한데 2000년대 이후로 비OECD 국가들의 경제 성장률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자원 소비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자원을 퍼다 쓰기만 하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버티기 힘들어진 거다.

두번째로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이다. 플라스틱 사용량이 증가하니 플라스틱 쓰레기도 증가했는데 이 재질은 재활용이 쉽지 않다. 소각하면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매립하면 썩지 않는다. 그리고 그게 바다로 흘러가면, 사진을 통해 많이들 보셨겠지만 바다거북이의 목에 빨대가 꽂히기도 하고 인간에게는 결국 미세 플라스틱 문제로 돌아온다.

일각에선 우리나라가 재활용 강국이라고 한다. 과연 어느 정도의 자원순환이 이뤄지고 있는가?

▶ 환경부에서 발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을 보면, 2018년 기준 생활쓰레기 재활용률이 62%이다. 이는 독일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다. 그런데 이 62%라는 수치는 각 가정에서 분리배출되어 나온 양을 의미하는데, 가정에서 분리 배출된 쓰레기가 모두 재활용 되는 것은 아니다 보니 수치상에 함정이 있다고 본다.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쓰레기 선별장에서 선별을 거친 후 재활용 되는 실질 재활용 양은 아마 절반 수준인 30~40%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의 실질 재활용률만 따져보면 세계적으로는 12%,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5% 정도에 불과하다.

비대면 생활로 인해 일회용 쓰레기가 급격히 증가했다. 불가피하게 써야하는 경우가 많지만 쌓여가는 쓰레기를 보면 우울하고 답답하다. 우리가 더 할 수 있는 게 무엇이 있을까?

▶ 2018년 쓰레기 대란 이후로 쓰레기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편이다. 물론 개인의 의지와 실천도 중요하지만, 현 쓰레기 상황은 개인의 실천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마트에 다회용 장바구니를 가지고 간다 해도 이미 비닐이나 스티로폴 포장이 된 상태로 판매되는 상품들을 담아야 하지 않나? 생산 단계에서부터 과대 포장, 비닐포장을 하지 않도록 소비자가 생산자를 유도하고 강권해야 한다. 쓰레기를 줄이자는 가치 있는 소비자의 권리를 적극 표현할 필요가 있는데, 그 방법 중 하나가 요즘 환경 커뮤니티 등에서 활동하는 소비자의 어택(attack)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건강한 어택을 통해 생산자도 바뀌고, 시스템이 변화해 갈 수 있다고 본다.

*분리배출 꿀팁 등 홍수열 소장과의 인터뷰 풀버전은 〈에코뷰2030〉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김알림 환경에디터 heraldec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