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클 제품 출시 등 지속가능 패션 고민
자원 순환 모델 구축하는 구조적 노력도 병행
[서울=뉴시스] K-rPET 재생 섬유로 만든 나우 티셔츠. (사진=블랙야크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최근 친환경, 동물 윤리, 인권 등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MZ세대를 잡기 위한 패션가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지속가능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변하며 소비를 통해 기업들에게 그 역할을 촉구하는 추세다. 그 동안 패스트 패션을 추구하며 환경 오염의 주범으로 꼽혔던 패션업계에서 이제 지속가능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아웃도어 업계에서는 폐페트병을 활용한 친환경 제품을 앞세우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어패럴은 100% 리사이클 원단으로 만든 '친환경 플리스' 제품을 출시했고, K2와 노스페이스 등이 폐페트병, 폐기물 등을 재활용해 만든 리사이클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처럼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보여주기 위한 활동이 활발한 가운데, 이제는 생산부터 폐기까지 소비의 전 과정에 이르는 '지속 가능한 생태계' 마련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차원까지 다다랐다.
㈜비와이엔블랙야크(블랙야크)는 최근 방치되는 국내 폐페트병을 수거해 의류용 원사를 만들고 매력적인 기능성을 부여하는 '순환 체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페트병을 활용한 친환경 제품을 선보이는 것에서 나아가 지속 가능한 고부가가치 산업을 위한 자원순환 모델 구축 등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다.
국내의 페트병 분리 배출 비율은 약 80%로 높지만 이물질 등의 순도 문제로 의류용 장섬유로 재활용되는 비율이 매우 낮다. 이 때문에 국내 시장의 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제품 대부분은 일본이나 대만 등 해외에서 수입한 'rPET(알피이티) 재생섬유'로 만들어지고 있는 실정.
이에 블랙야크는 지난 5월 SM그룹의 화학섬유 제조기업 ㈜티케이케미칼과 업무 협약을 맺고, 자사 브랜드 블랙야크와 나우를 통해 국내 최초로 'K-rPET 재생섬유'로 만든 티셔츠를 선보였다. 티케이케미칼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용된 일회용 페트병을 활용한 'K-rPET(케이-알피이티) 재생섬유' 양산체계를 보유했다.
[서울=뉴시스] 나우 매거진 서울편 발간. (사진=블랙야크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달에는 강원도와 페트병 재활용과 수요 확대를 위한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고품질 페트병 얻기 위한 수거 방식 개선, 선별시설 확충 등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모델 구축의 발판을 마련했다.
최근에는 환경부, 강릉시, 삼척시와 다자간 업무 협약을 맺으면서 국내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사업이 배출-재활용-제품생산-소비까지 안정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자원 순환 체계 확립에 한 발짝 더 나아갔다. 협약을 계기로 블랙야크는 강원 지역에서 수거된 투명 페트병을 재활용한 'K-rPET 재생섬유'로 의류를 생산하고, 이를 통해 재생원료를 기능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구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연간으로 발행되는 독립잡지 '나우 매거진'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삶에 대한 방향성도 제시하고 있다. 창간호 포틀랜드 편을 시작으로 타이베이, 베를린, 텔아비브에 이어 올해로 5번째를 맞이하는 서울 편에서는 다양한 직업과 가치관을 갖고 있는 서스테이너들이 참여했다. 시시각각 빠르게 변모하는 서울의 모습을 '환승'이라는 단어로 비유하며 삶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향유해 나가는 법을 공유한다.
블랙야크 관계자는 "우리 후손에게 깨끗한 지수를 물려주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블랙야크는 자연과의 공존을 핵심 과제로 삼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아웃도어 본질과 연결해 구조적,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