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수도권매립지 2025년 종료… 인천시, 관내 소각시설 현대화·확충 박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선언한 인천시가 관내 소각시설 현대화 및 신규 확충에 박차를 가한다.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에 충실하는 한편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배출한 쓰레기를 지역으로 더이상 반입시키지 않겠다는 취지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환경부는 폐기물의 발생 단계부터 최종 처리까지 대책을 포함한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생활폐기물 처리시설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 처리 기반을 조성코자 한다. 정부는 내년에 관련 법령을 개정해 생활폐기물의 중간처리 단계에서 발생지 책임처리 원칙을 확립할 방침이다.

특히 가연성 생활폐기물의 경우 2026년 수도권을 시작으로 2030년부터는 모든 지역에서 바로 매립하는 것을 금지하고, 중간처리를 거쳐 소각재 등만 매립토록 한다. 이와 관련해 시는 ‘자원환경시설 친환경 현대화사업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지난해 12월 착공해 추진 중이다.

2025년까지 기존 소각시설 현대화 및 부족한 처리용량은 신규 시설을 설치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하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의 지속적 민원 제기로 답보 상태다. 시는 현재 사용 중인 송도와 청라 소각시설은 현대화가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2026년 대비 부족한 1000여t 규모의 소각시설 확충을 위해 행정·재정적 집중이 절실하다.

시는 생활폐기물 발생부터 배출·수거, 선별·재활용, 최종 처리까지 감량화, 재활용률 향상, 매립 최소화에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더불어 시민들은 솔직한 소통으로 양해를 구하며 설득 중이다. 현재 군수·구청장 협의회, 시민정책 네트워크 등을 통해 의견을 모으고 있다.

오흥석 시 교통환경조정관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와 폐기물 감량, 재활용 촉진, 소각·매립시설을 아우르는 자원순환정책은 인천이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현안 과제”라며 “생활폐기물 처리의 어려움에 대한 현실을 시민들이 이해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천=강승훈 기자 shkang@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