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두산퓨얼셀, 그룹내 비중 커진다…인프라코어 자리 꿰차고 '새 캐시카우' 기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두산인프라코어를 대신해 두산퓨얼셀이 두산중공업의 핵심 계열사 역할을 맡는다. 두산그룹 오너 일가가 퓨얼셀 지분을 두산중공업으로 무상증여를 결정하면서다.

두산중공업은 핵심 계열사의 주력 사업을 건설기계에서 발전용 수소연료전지로 배치하며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전환을 사실상 마무리했다는 평가다. 당장 그룹 내 '캐시카우' 역할을 대체하기 힘들지만, 생산설비 증설을 위한 대규모 투자에 나서는 등 3~4년 후 인프라코어 매출액을 따라 잡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지난 4일 박정원 회장 등 그룹 오너들이 보유한 두산퓨얼셀 지분 23%를 두산중공업에 무상증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두산중공업이 퓨얼셀의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백인혁 기자 = 서울 동대문에 위치한 두산타워의 모습. 2020.09.22 dlsgur9757@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두산인프라코어(두산밥캣), 두산건설, 두산메카텍, 오성파워오엔엠을 계열사로 거느리고 있다. 이 중 인프라코어와 두산건설은 매각 절차가 진행 중으로, 앞으로 두산퓨얼셀이 두산중공업의 핵심 계열사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25일 현재 시가총액을 봐도 퓨얼셀(2조1865억원)이 인프라코어(1조9912억원)를 앞선다. 2조6265억원의 밥캣이 있지만 매각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두산퓨얼셀은 앞선 기술을 바탕으로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장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78%를 기록하며 독보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두산퓨얼셀의 대주주로서 연료전지 발전기술까지 확보하게 돼 연료전지(440kW), 풍력(3~8MW급), 중소형원자로(SMR, 단위 60MW), 가스터빈(270MW, 380MW)으로 이어지는 친환경 발전기술 라인업을 구축하게 된다. ㈜두산→두산중공업→두산퓨얼셀로 이어지는 친환경 발전을 위한 지배구조도 완성했다.

두산퓨얼셀은 지난 4일 342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도 발표했다. 모기업인 두산중공업이 3조원 규모의 자구안 마련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퓨얼셀은 유상증자로 마련한 3420억원을 모두 생산라인 증설 등으로 재투자하기로 했다.

유상증자로 조달된 3420억원 중 가장 많은 2170억원은 연료전지 기기 제작을 위한 자재 구매대금 집행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803억원은 익산에 있는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설비 증설에, 447억원은 차세대 연료전지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생산라인 증설과 기술개발에 각각 투자한다.

퓨얼셀이 개발 중인 한국형 고효율 SOFC는 기존 SOFC의 단점을 해결해 미래 수소 경제 확대를 대비하는 기술로, 3~4년의 개발 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있다. 두산 관계자는 "SOFC는 기술 개발이 완료되더라도 관련 생산 설비를 구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며 "이에 따라 퓨얼셀은 기술 개발과 동시에 생산설비를 구축해 시장 선점을 위한 상용화 시점을 단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다만 퓨얼셀이 인프라코어가 맡고 있는 '캐시카우' 역할을 바로 대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두산퓨얼셀의 올 상반기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301억원, 79억원이다. 매출액 1조4257억원, 영업이익은 817억원을 달성한 인프라코어의 10분의 1 수준이다.

업계에선 퓨얼셀이 3~4년 후 인프라코어 매출 규모를 따라 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혜영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퓨얼셀은 올해 매출액 4640억원, 영업이익 360억원에서 2024년 매출액 1조6000억원, 영업이익 1560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며 "SOFC를 비롯한 트라이젠 등 신기술 개발 여부와 정부의 친환경 발전계획 지속성이 변수"라고 설명했다.

syu@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