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틱톡, 매각 유예 D-6…“美정부와 전체 아닌 일부 매각 협의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새규제 방침 따라 美사업 지분 일부 보유案 제시

美기업들, 전체 지분 매입 원해…협상 난항 예상

트럼프 대선전 '中때리기' 심화…美정부 수용여부 주목

이데일리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중국 동영상 어플리케이션(앱) 틱톡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 매각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MS) 등과 진행하고 있는 협상이 난관에 봉착했다. 중국이 최근 인공지능(AI)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수출할 때 중국 정부로부터 허가를 받도록 새로운 규제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틱톡은 미국 사업을 전부 매각하는 것이 아닌 일부만 매각하는 방안을 미 정부에 제시하고 협상을 시도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제시한 시한이 불과 일주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미 정부가 틱톡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인지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트댄스가 틱톡 지분 일부를 보유하면서 미국 내 사용자 정보 접근 권한은 미 기업에 넘기는 방식으로 미 정부와 합의를 시도하고 있는 것다고 보도했다. 또다른 소식통은 다만 “여전히 수많은 옵션이 협상 테이블에 놓여 있으며 상황은 유동적이다. 틱톡 미국 사업을 통째로 매각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며 “완전 매각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틱톡의 구조조정이 수반될 것 같다”고 전했다.

바이트댄스의 입장 변화는 중국이 최근 내놓은 새로운 규제 방안과 무관하지 않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4일 틱톡의 매각 협상 마감 시한을 오는 15일까지로 정하고, 이후에는 틱톡의 미국 내 영업을 금지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이후 중국 정부는 지난달 30일 우주항공·유전자·드론·양자암호·데이터분석·핀테크 등 다양한 첨단기술은 물론 음성인식·빅데이터 수집 등 AI 관련 기술을 당국 허가 없이 수출하지 못하도록 규제 대상에 추가했다.

틱톡이 보유한 콘텐츠 추천, 텍스트 분석, 음성인식 같은 알고리즘 역시 이번 규제에 새로 들어간 ‘데이터분석을 기반으로 한 개인 데이터 서비스 기술’에 속한다. 관련 기술을 미국에 매각하려면 사전에 중국 정부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얘기다. 중국 정부가 허락하지 않으면 매각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아울러 중국의 새 규제를 따를 경우 미 기업이 틱톡의 주요 알고리즘을 인수할 수 없게 될 지도 모르는데, 이 경우 틱톡을 인수할 만한 동기가 크게 약화된다. 이에 틱톡은 협상 초기부터 수개월 동안 거론됐던 지분 일부를 남기되 미국 사용자 정보에 대한 권한을 미 기업이 갖도록 하겠다는 합의안을 다시 제시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틱톡 인수에 나선 미 기업들은 지분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사들이길 원하고 있고, 시간도 촉박해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현재 MS·오라클·월마트 등이 바이트댄스와 인수 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틱톡이 보유한 모든 기술을 포함한 전체 매각 규모는 약 300억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가장 중요한 건 미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 것인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중국 때리기’ 강도를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틱톡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 소식통은 WSJ에 “틱톡의 주요 투자자인 미국 벤처캐피탈(VC) 세콰이어캐피탈·제너럴 애틀랜틱·코트 매니지먼트 대표가 지난주 버지니아에서 미 중앙정보부(CIA) 관계자들과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고 말했다.

모니카 크로울리 미 재무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지난 8월 14일 행정명령에 따라 틱톡 매각 관련 논의에만 전념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미 정부 관계자들은 여전히 틱톡의 데이터를 중국 정부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해야 한다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

WSJ은 “틱톡을 두고 미중 간 지정학적 공방이 격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어느 정도 선에서 만족할 지, 중국은 어떤 입장인지 명확치 않다”며 “매각 절차가 완전히 끝나는 시기는 대선 이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