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자영업자 5명 중 3명 "거리두기 2.5단계 이후 폐업 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0.9% 실제 폐업도…10명 중 2명은 "매출 적자"

뉴스1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문대현 기자 = 자영업자 5명 중 3명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 이후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바천국은 기업회원 234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 이후 상황을 조사한 결과 자영업자 58.5%가 폐업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답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들 중 10.9%는 실제로 폐업 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업종이 집합금지 대상인 12종 고위험시설에 해당될 경우 폐업 고려 비율은 68.6%에 달했다. 이는 고위험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업종을 운영하는 자영업자(52.6%)에 비해 16.0%p 높은 수치다.

거리두기 2.5단계 시행 이후 매출과 관련한 변화로는 '전체 매출이 감소했다'는 답변이 67.9%로 가장 많았다.

감소 정도는 일 평균 매출 기준 Δ30%~49%(28.9%) Δ50%~69%(27.6%) Δ10%~29%(20.1%) Δ70%~100%(17.6%) Δ1%~9%(5.6%) 등 순이다.

특히 20.9%는 적자를 기록했다고 답했으며 '매출 유지'(5.9%), '배달 등 특정 부문에서의 매출 증가'(3.4%), '전체 매출 증가'(1.7%) 등 매출 관련 긍정적인 변화는 10% 남짓에 불과했다.

매출 외 변화(복수응답)로는 '손님 감소'가 67.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알바생 고용 감소 및 중단'(40.6%), '영업시간 단축'(29.4%), '일시적 영업 중단'(25.2%), '배달 알바 투잡 등 본인 근무량 증가'(15.3%), '포장 및 배달 손님 증가'(11.1%) 등이 뒤를 이었다.

거리두기 3단계 격상에 대해서는 '불필요하다'(55.9%)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다. 그 이유로는 '매출 감소 등 더 큰 경제적 타격을 막기 위해'(58.0%), 근소한 차이로 '침체된 경기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에'(56.4%)가 1, 2위를 차지했다.

또 '2.5단계로 충분하다고 생각해서'(35.1%), '3단계의 실효성이 크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에'(19.0%) 등이 있었다.

반면 3단계로 격상해야 한다는 의견(44.0%)과 관련해선 '더 이상의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라는 답변이 82.5%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의 완전한 종식을 위해'(57.2%), '경제적 타격은 일시적일 것으로 예상돼서'(17.4%), '인건비 등 유지비라도 절약하기 위해'(11.6%) 등의 응답도 나왔다.
eggod6112@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