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Korean shipyards top global order book for 2nd straight month in August (수주 가뭄 속…한국 조선업, 세계 선박 수주 두달 연속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Pulse로 배우는 영작문-848] 'Pulse로 배우는 영작문'으로 영문 뉴스 읽기에 도전해보세요. [영문뉴스 원문 바로가기]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액화천연가스(LNG)선과 초대형 에탄 운반선(VLEC) 발주 재개에 힘입어 한국이 2개월 연속 세계 선박 수주 1위를 차지했다.

South Korean shipbuilders topped the global order book for the second month in a row in August, as demand for liquefied natural gas (LNG) carriers stayed robust in otherwise drought in shipbuilding order.

8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는 86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36척으로, 이중 한국은 73%인 63만CGT·23척을 수주했다. 2위인 중국(21만CGT·12척)은 전체의 24%를 거둬들이는 데 그쳤다.

According to British shipbuilding and marine industry tracker Clarkson Research Services on Tuesday, Korean shipyards clinched combined orders of 630,000 compensated gross tonnage (CGT), or 23 vessels, in August. Their orders account for 73 percent of the global orders, which came at 860,000 CGT with 36 ships. It is the second straight month for Korean shipbuilders rank the top in the world based on orders. China came second in August by taking 24 percent of global shipbuilding orders, or 210,000 CGT with 12 vessels.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상반기에 극심한 수주 절벽을 겪었으나 6월 이후 주력 선종인 LNG선, VLEC 등 가스선 발주가 재개되면서 수주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9월 이후부터는 모잠비크, 러시아 등 대형 LNG 프로젝트 발주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orean shipyards suffered a dearth of orders throughout the first half but their business turned around from June on demand for LNG carrier and very large ethane carrier (VLEC),” said a shipbuilding industry official, adding that the orders for LNG carriers may grow further from September as large-scale LNG projects are scheduled to launch in Mozambique and Russia.

올해 세계 선박 발주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작년 같은 기간의 절반 이하로 쪼그라들었다. 1∼8월 글로벌 수주 누계는 812만CGT로, 작년 같은 기간(1천747만CGT)보다 54% 감소했다.

The Korean shipbuilders’ feat comes even as global ship demands have shrunk sharply due to impacts from the COVID-19 pandemic. The global shipbuilding orders from January to August this year tally at 8.12 million CGT, down 54 percent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8월 말 전 세계 수주잔량은 한 달 전보다 1% 감소한 6천919만CGT였다. 이는 2004년 1월 6천806만CGT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전년 동기 대비 감소 폭은 일본(-477만CGT·-34%), 중국(-303만CGT·-11%), 한국(-205만CGT·-10%) 순으로 크다.

The global order backlog stood at 69.19 million CGT at the end of August, down 1 percent from a month earlier. The amount is the lowest since January 2004. Japanese shipyards saw the sharpest contraction in the order backlog with 34 percent year-on-year fall, followed by Chinese with 11 percent and Korean with 10 percent.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천547만CGT(37%), 한국 1천915만CGT(28%), 일본 934만CGT(14%) 순이다.

Chinese shipyards have the largest order backlog of 25.47 million CGT, accounting for 37 percent of global backlog. Korean names have the second largest of 19.15 million CGT, or 28 percent of the total, followed by Japan with 9.34 million CGT or 14 percent.

8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127포인트로, 지난달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는 LNG선(17만4천㎥), 컨테이너선, 벌크선은 전달과 같지만 초대형 유조선(VLCC), S-max 유조선, A-max 유조선은 소폭 하락했다.

Ship prices remained barely unchanged. The Clarkson Newbuilding Price Index was 127 points in August, up 1 point from a month earlier. Prices of LNG carriers, container ships, and bulk carriers stayed mostly unchanged, while those of very large crude carriers and oil tankers fell slightly.

◆ Editor’s Pick

- order book: (생산) 주문 장부

- order backlog: 수주 잔고. Backlog: 밀린 일 (예: The company is experiencing a large backlog of work / 그 회사는 주문이 많이 밀리고 있다)

- drought: 가뭄

- dearth: 고갈 (예: a dearth of information / 정보의 부족)

- otherwise: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 turn around: 호전 시키다, 호전되다

- feat: 위업, 성과

- even as: ~함에도, ~했을 때에도

- name: 유명한 사람, 회사. 위 기사에서는 한국 회사(조선소)를 지칭.

- barely unchanged: 거의 바뀌지 않았다 ( = mostly unchanged)

◆ Editor’s Note

- shipyard: 조선소 (= dockyard). 조선업체 (shipbuilder)의 의미로도 사용됨.

- clinch an order: 주문을 따내다 ( = get an order, land an order, win an order, secure an order). Order 대신, contract을 사용하면 계약을 따다.

- second straight month: 2개월 연속 (= second month in a row, second consecutive month)

[영문뉴스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