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코로나 직격탄’ 자영업자 12만 7000명 감소…지난해보다 감소 폭 5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정부가 문 닫으라고 합니다” 폐업 사장님의 절규 -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 중인 7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연세로의 한 노래연습장 주인이 경영난으로 폐업하게 됐다는 사연을 내걸었다.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위주로 급감


올해 자영업자 감소 폭이 지난해의 약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급격히 줄었다. 코로나19로 매출에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월급·임대료 부담에 직원을 내보낸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8일 중소기업연구원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자영업자는 554만 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만 7000명 줄었다.

지난해 7월에는 자영업자가 전년 동월보다 2만 6000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1년 만에 자영업자 감소 폭이 4.9배로 커진 것이다.

특히 자영업자 중에서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많이 줄어든 것도 눈에 띈다.

올해 7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34만 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7만 5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7월에는 1년 전보다 13만 9000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늘긴 했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증가 폭의 격차가 컸다.

올해 7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20만 3000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불과 4만 8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7월에 1년 전보다 11만 3000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큰 차이를 보였다.

통상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가 직원을 내보내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되거나 일반 임금 근로자가 회사를 그만두고 자본금이 많지 않은 창업 전선에 뛰어들면서 고용원 없이 시작하는 경우에 증가하는 편이다.

지난해 7월의 경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줄어든 만큼은 아니지만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늘다 보니 전체 자영업자 수는 2만 6000명 감소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올해는 여러 가지 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올해 7월에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1년 전보다 17만 5000명이나 줄었는데도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만 8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그만큼 평소보다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로 변경되거나 임금 근로자의 창업이 많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으로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급감하지만 임대료 부담 등은 줄지 않아 벼랑 끝으로 몰리는 상황이다. 직원을 둔 자영업자들은 월급을 지급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난 6일까지였던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 두기 2.5단계를 오는 13일까지 1주일 더 연장했고 전국에 시행 중인 거리 두기 2단계는 2주 연장해 오는 20일까지 유지하기로 해 향후 영향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