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레바논에 원조 약속했지만
마크롱 '개혁 시한' 3개월 제시·촉구
1일(현지시간) 레바논 베이루트 폭발 참사 현장을 찾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1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레바논을 방문한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이처럼 말했다고 미국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 등 외신이 보도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개혁이 이행되지 않으면 우리는 레바논 국제지원그룹의 자금을 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레바논 당국이 전기 분야에 중점을 둔 개혁과 은행 시스템 구조조정 등을 하는 기한을 3개월 주겠다고 덧붙였다.
국제사회가 나서 레바논 정부를 향해 원조에 대한 전제로 “개혁”을 촉구하는 건 레바논 정권의 부패와 무능에 대한 레바논 국민의 분노가 크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지난달 4일 베이루트항에선 대규모 폭발 참사가 발생했다. 정부가 6년간 항구에 방치한 2750t의 질산암모늄이 발화하면서 일어난 폭발이란 사실에 반정부 시위가 벌어졌다.
마크롱 대통령(왼쪽)은 31일 레바논에 도착하자마자 레바논 국민 여가수 페이루즈를 비공개로 만났다. 페이루즈는 레바논 국민에게 위안을 주는 가수로 알려졌다. CNN 등 외신이 공개한 두 사람이 만나는 사진. [CNN 홈페이지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레바논 정권에 개혁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는 폭발 참사가 발생한 지 3일째인 지난달 6일에 주요국 정상 중 유일하게 레바논을 방문했다. 당시에도 “개혁이 이행되지 않으면 레바논은 계속 침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 달 사이 레바논을 두 번째 방문한 것이다.
레바논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로 양국은 여전히 정치·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