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범위를 두고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이재명 경기도시사가 ‘정당은 조폭이나 군대도 아니고 특정인의 소유도 아니다’라는 자신의 글을 두고 ‘민주당에 반기를 들었다’는 논란이 일자 “(당이 아닌) 언론에게 한 말”이라고 해명했다.
이 지사는 26일 오전 전파를 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지사의 SNS 글이 ‘민주당 내부, 당원으로서 구성원들에게 한 이야기’라는 1차적 해석이 나온다’는 질문에 “(그런 의미가) 전혀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 지사는 “제가 그 이야기를 쓴 이유는 민주정당 내에서는 입장이 다양할 수 있고 의견을 내야 당론 결정이 합리적으로 되지 않느냐”며 “그래서 당인 것이고 의견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게 조직이다. 군대나 폭력조직이듯 조직인데, 우리나라의 언론들이 이걸 전혀 다르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면 의견들 달리 내니까 ‘분란이다, 불협화음이다’ 심지어 저보고 ‘반기를 들었다’ 이런 얘기를 하더라”며 “당론을 정한 것도 아닌데 당론 결정 과정에서 의견을 자유롭게 내는 걸 왜 이렇게 갈라치기하느냐, 나를 왜 반기라고 표현하느냐, 똑같은 당원들의 얘기인데 갈라치기 하지 말라고 언론에게 이 얘기를 했더니 이걸 이용해서 도리어 또 갈라치기를 한다”고 했다.
진행자가 “(반기를 들었다는 해석이) 오해란 말씀이냐”고 묻자, 이 지사는 “제가 보기에 오해가 아니고 곡해”라고 강조했다. 또 “일부러?”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렇다”며 “(SNS 글) 본문에 분명히 ‘언론이 이렇게 쓰고 있는데 옳지 않다’ 이렇게도 써놨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지사는 25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정당은 조폭이나 군대도 아니고 특정인의 소유도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조폭이나 군대에선 수뇌의 결정과 명령에 하부 조직원은 복종할 뿐이지만, 정당은 다양한 정치적 의견을 가진 국민들의 집합체”라며 “민주국가에서 정당은 특정인이나 특정 세력의 소유물도 아니며 국민의 것이자 당원의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러면서 “당원은 누구나 당 정책에 의견을 낼 수 있고, 국민은 누구나 국가 정책 결정에 참여할 수 있다”며 “정책이 결정되면 존중하지만 정책결정 전에는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내고 토론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고 적었다. 이어 “저도 국민이자 민주당 당원의 한 사람이고, 1,370만 경기도정을 책임진 행정관으로서 경기도정에 영향을 미치는 집권여당 민주당의 정책에 대해 말할 수 있고 또 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지급해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도 거듭 밝혔다. 이 지사는 “코로나 2차 대유행에 따라 더 심해진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국민의 가처분소득과 소비를 늘리고 중소자영업자의 매출과 이에 따른 생산유발 효과를 내는 ‘시한부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기본소득형 재난지원금’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반면 이낙연 의원은 26일 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재난지원금 선별 지급’에 대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코로나19 상황 자체가 유동적이다. 그런 것을 감안하지 않고 재난지원금 (지급의) 방법이나 액수를 먼저 따지는 것은 옳지 않다”며 “만약 사태가 더 커지면 재난지원금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태가 될지 모른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올봄에 재난지원금을 줬을 때와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다르다”며 “재난지원금을 준다면 빚을 낼 수밖에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곳간 지키기도 훨씬 더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재난지원금 관련)논란에 힘을 쓰기 보다 방역을 더 강화해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로 가지 않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힘을 모으는 것이 맞다”는 말도 덧붙였다. /조예리기자 sharp@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