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재확산하며 경제 회복세 약화 전망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4일 "코로나19의 국내 감염이 다시 확산하면서 향후 경제흐름의 불확실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참석해 "코로나19 확산으로 크게 악화했던 국내경제가 다소 개선되는 조짐을 보였으나, 최근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며 회복세가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세계 경제에 대해서도 5월 이후 경제활동이 점차 재개되며 부진이 다소 완화되고 있었는데,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경제는 코로나19 확산 초기 크게 악화했다가 수출·소비 부진이 완화되면서 다소 개선되는 조짐이었다. 수출은 주요국에서 경제활동을 점차 재개하며 3분기 들어 부진 폭이 줄고 있었고, 소비도 정부 지원책 등에 힘입어 반등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국내 감염이 다시 확산되며 기대했던 경제 회복세가 현실화하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5월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로 제시했는데, 오는 27일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선 최악의 경우 -2%까지 성장률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총재는 고용 상황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취업자수는 3월 이후 대면영업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큰 폭 감소했다"며 "코로나19 충격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종의 고용개선이 더딘 데다, 제조업과 건설업 업황부진도 이어지며 향후 고용상황은 부진한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그는 "국내경제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 과정에서 코로나19 전개 상황이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간 정책대응의 파급효과를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역대 최저 수준인 기준금리는 0.5%에서 당분간 동결할 가능성에 전문가들은 무게를 두고 있다.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재확산이 나타날 경우 대응할 여력을 남겨 두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은은 올해 초부터 진행된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해 전례없는 수준의 다양한 정책수단을 내놓았다. 코로나19 확산 이전 연 1.25% 수준이던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연 0.50%까지 낮췄고,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중개지원대출 한도를 증액하는 등 통화정책을 보다 완화적으로 운용했다.
무제한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통한 금융기관 유동성 공급, 미 연방준비제도(Fed)와의 통화스와프 자금을 활용한 외화대출 등을 통해 원화와 외화 유동성 사정을 크게 개선하기도 했다. 유통시장에서는 국고채 매입을 실시해 국채시장을 안정화시켰고, 기업의 자금조달 애로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 및 산업은행과 협력해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기구를 설립하고 매입자금을 지원했다.
이 같은 조치 덕에 금융·외환시장은 안정된 모습이다. 지난 3월 1500포인트를 하회한 코스피 지수는 최근 2300선 이상으로 올라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회했다. 원·달러 환율 역시 3월 중 1285.7원까지 급등했지만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글로벌 달러화 약세 등의 영향으로 반락해 8월엔 1180원대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완화적인 통화정책,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기업과 가계가 대출을 크게 늘리면서 불어난 유동성이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가격만 끌어올린다는 비난도 있고, 실물경제를 끌어올릴 생산적인 곳으로 향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총재는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부동산시장으로의 자금쏠림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도 주의깊게 살펴보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금융·외환시장 안정과 신용의 원활한 흐름이 유지되도록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윤동 기자 dong01@ajunews.com
윤동 dong01@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