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일본 올 2분기 GDP 연율 27.8%↓…사상 최악 수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본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긴급사태가 선포됐던 올해 2분기(4~6월)에 세계금융위기 당시 이상의 충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내각부는 17일 물가 변동을 제외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이 전 분기와 비교해 7.8% 줄면서 3분기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런 추세가 1년 지속하는 것으로 산출한 연간 실질 GDP 성장률은 -27.8%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리먼 사태) 당시인 2009년 1분기(-17.8%)보다 나쁜 실적으로, 관련 통계를 역산할 수 있는 1955년 이후 최대 역성장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코로나19 영향으로 이용객이 급감한 도쿄 하네다공항 모습.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7일 도쿄와 오사카 등 확진자가 많이 나오던 7개 광역지역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1차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전국으로 확대했다가 5월 25일 모두 해제했다.

올 2분기에는 외출과 여행 등 대외활동을 억제하는 긴급사태 발효 기간과 겹친 것이 GDP 역성장에 미친 영향이 컸다.

영역별로는 GDP 기여도가 가장 큰 개인소비는 올 2분기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출 자제 등의 여파로 전분기와 비교해 8.2% 급감했다.

긴급사태 발효에 따른 외출과 영업 자숙의 영향으로 여행이나 외식 등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소비가 줄었다.

또 기업 설비 투자는 1.5% 감소하며 2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세로 돌아섰다.

수출은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18.5% 격감했고, 수입은 원유 수요 둔화로 0.5% 줄었다.

주택 투자는 0.2% 줄면서 3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공공투자는 1.2%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늘고 있지만 긴급사태로 대응하지 않는 올 3분기(7~9월)에는 성장세를 어느 정도 회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arksj@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