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8 (수)

이슈 정부 VS 의료계 첨예한 대립

의료 대란은 없었지만…의협 “정부 방침 철회 안 하면 이달 말 2차 총파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 동네의원의 33%만 문 닫아…대형병원도 큰 혼란은 없어

[경향신문]



경향신문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해 파업에 돌입하면서 14일 전국 동네의원 1만1000여곳이 문을 닫았다. 대학병원 인턴·레지던트 등 전공의까지 집단휴진에 동참해 일부 시민들이 진료에 불편을 겪었지만 우려했던 ‘의료 대란’은 없었다. 의협은 정부가 방침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이달 말 2차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으로 의원급 동네병원 3만3836곳 중 32.6%인 1만1025곳이 사전 휴진신고를 했다. 서울시의 경우 19.1%가 휴진을 신고해 휴진 비율이 가장 낮았던 반면, 부산시의 경우 10곳 중 4곳 이상인 43%가 집단휴진에 참여했다. 부산시는 휴진 비율이 30% 이상일 경우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라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료개시를 명령했다. 이 밖에 대학병원 전공의 상당수와 전공의들의 선배인 전임의 일부도 집단휴진에 동참했다.

의협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를 ‘4대악 의료정책’으로 규정하며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에서 총파업 궐기대회를 열었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정부가 ‘4대악 의료정책’을 기습적으로 쏟아내고 어떠한 논의도 협의도 없이 일방적으로 질주해왔다”며 “13만 의사 회원의 의지를 담아 다시 한번 철폐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정부가 책임 있는 개선 조치를 보이지 않을 경우 이달 26~28일 3일에 걸쳐 2차 총파업을 단행한 후 무기한 파업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앞서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한 정부는 “적지 않은 사람들이 (집회를 열어) 밀접한 상태로 구호를 외칠 경우 (의사들이) 병원이나 의료기관에 복귀했을 때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며 집회 자제를 촉구한 바 있다.

이날 파업의 여파로 병원을 찾았던 일부 시민들은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서울 중구 충무로에서 일하는 50대 김모씨도 이날 오전 11시쯤 직장 인근의 병원을 방문했지만 진료는 받지 못했다. 김씨가 찾은 안과뿐 아니라 같은 건물에 위치한 치과와 이비인후과도 모두 문을 닫은 상태였다. 김씨는 “일하는 곳 근처라 안과 진료를 받으러 왔다”며 “동네 의원 파업한다는 뉴스는 봤는데 보건복지부 등 사이트로 여기가 휴진하는 곳인지 사전에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20대 김모씨도 이날 오후 서울 서대문구의 한 피부과를 찾았다가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는 “가까운 곳에 진료하는 피부과가 있는지 찾아보거나, 아니면 문 여는 날 다시 와야겠다”고 말했다.

대형병원의 경우 전공의와 일부 전임의가 파업에 참여하긴 했지만, 지난 7일 전공의 파업 때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대체근무 일정을 조정해 큰 혼란은 없었다. 응급실, 중환자실 등 환자 생명과 직결된 부서의 필수 유지 인력은 파업에 참가하지 않았다. 이날 오후 서울대병원은 과별로 환자 10여명이 진료 순번을 기다리는 등 평상시와 다름없는 모습을 보였다. 병원 로비에서는 전공의 한 명이 ‘공공의료 의사증원? 중요한 건 여건이다’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였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진료에 큰 문제 없이 병원이 운영되고 있다”며 “수술은 급하지 않은 경우 미리 미뤄서 건수를 줄였고 필수적인 의료인원은 각 과에서 협의하에 유지하기로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도 전공의 500여명 중 80~90%, 전임의 300여명 중 50% 정도가 파업에 참여했지만 진료는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병원 측의 사전 공지로 환자들이 미리 진료 일정을 조율해 내원 숫자가 평소보다 10% 감소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정부는 집단휴진에 유감을 표하며 의료계에 대화와 협의를 강조했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의사 인력 확충은 보건의료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라며 “환자들의 생명과 안전에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집단행동을 감행하는 것은 국민들의 신뢰와 지지를 얻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효상·탁지영·오경민·김정훈 기자 hslee@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