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 사진제공=로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개인정보 유출 의혹을 내세워 중국앱인 '틱톡'과 '위챗' 사용금지 조치를 내린 가운데 틱톡의 개인정보 무단수집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내에서도 중국앱에 대한 경계심리가 확산되고 있다. 이와관련 미국, 인도 등과의 국제정치적 분쟁으로 인한 제재를 떠나 중국 모바일 생태계의 폐쇄성과 낮은 신뢰성에 대한 문제 제기도 이어지고있다.
앞서 1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틱톡이 최소 15개월이상 구글 안드로이드 이용자로부터 무단으로 맥주소(MAC Address) 등 개인정보를 수집했다고 밝혔다. 틱톡이 동의없이 수집한 정보를 모회사 바이트댄스로 전송했으며 이는 미국의 법령은 물론 구글 개인정보보호규정을 위반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했던 중국앱의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확인된 것이어서 파장이 크다.
━
"개인정보 유출될라" 중국앱 지워야...리스트 확산
━
꼭지워야할 중국앱이라는 제목의 게시물/ 사진=인터넷캡처 |
꼭지워야할 중국앱이라는 제목의 게시물/ 사진=인터넷캡처 |
국내 누리꾼들 사이에서도 중국앱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꼭 지워야할 중국앱'이라는 게시물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 트위터 이용자가 올린 이 게시물에는 틱톡과 위챗은 물론 셰어잇, 유라이크, 캠스캐너, 뷰티플러스, 메이크업플러스, 카메라360, 메이튜, 클린마스터 등 70여개 이상의 인기앱들이 삭제대상 리스트에 올라와 있다.
카메라와 사진앱, 스마트폰 관리앱과 음악, 게임, 교육관련 앱들로 다양하다. 이 중 유라이크는 지난해 국내 앱스토어 다운로드 2위를 차지한 뷰티카메라앱으로 틱톡 개발사 바이트댄스가 개발했는데 중국과 분쟁을 겪고있는 인도정부가 틱톡과 함께 차단한 앱이기도 하다. 다른 앱들도 다운로드 상위권에 다수 올라가 있다. 게시자는 "모든 중국 앱은 중국 정부의 관리 검열 하에 운영되며 개인정보 유출우려가 커 중국 앱을 안까는게 가장 좋다"고 주장했다. 물론 모든 앱들이 개인정보를 무단 수집하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논란이된 틱톡의 경우 지난달 우리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개인정보보호법규 위반으로 적발돼 1억 8000만원의 과징금과 6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은 바 있다. 조사 결과 틱톡은 2017년 5월 31일부터 지난해 12월 6일까지 만 14세 미만 아동 개인정보를 법정대리인 동의없이 최소 6007건 이상 수집했고 국내 이용자 정보를 고지없이 국외 서버로 이전한 사실도 확인됐다. 방통위는 "틱톡 국내 가입자만 1057만명에 달해 실제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사례가 더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전문가들 "중국 모바일앱 폐쇄성이 불신 초래"
━
앞서 지난 6월 애플 iOS14 보안 업데이트 과정에서도 틱톡앱이 사용자가 클립보드에 입력한 내용을 무단으로 복사해 옮겨간 사실이 확인돼 논란이 되기도했다.
이에대해 전문가들은 틱톡이나 위챗에 대한 논란이 국제 정치적 분쟁과 얽혀있긴 하지만 또다른 측면에서는 그동안 중국 모바일앱의 폐쇄성에 따른 불신감이 쌓여온 것과 무관치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세계인이 애용하는 틱톡조차 iOS의 보안허점을 이용해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사용자 고지없이 개인정보를 끌어 모으는 행태가 이용자들의 중국 앱 전반에대한 신뢰를 갉아먹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 중국앱들 다수에 악성코드가 삽입돼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해킹에 활용된 사건들도 다시금 회자되고 있다.
IT전문 블로거인 최필식씨는 "최근 국가간 분쟁을 떠나 일련의 보안사건들을 보면 중국앱에 대한 불신은 근거가 없는 게 아니다"라면서 "중국 유명앱들이 글로벌 모바일환경에서 계속 존속하려면 고객 데이터 보호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성훈 기자 search@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