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법의 심판대 오른 MB

최승호 "文정부, 4대강 문제에 소극적… 녹조라떼 여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청와대, 4대강 해결 의지 부족, 접근부터 잘못"
"물관리위원들은 4대강 찬성론자… 조명래 장관 책임"
한국일보

30일 오후 부산 금정구 회동수원지가 장마철 집중호우 때 떠밀려온 쓰레기와 녹조로 뒤덮여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승호 뉴스타파 PD는 4대강 문제와 관련해 문재인 정부가 소극적으로 대처해 녹조현상, 이른바 '녹조라떼'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4대강 문제를 담당할 기구가 4대강 찬성론자들로 채워져 있다며 조명래 환경부 장관의 책임이 있다고 비판했다.

최 PD는 30일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보 처리를 빨리하겠다고 했지만, 잘 안 하고 있어 현재 4대강 상태를 알려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일보

최승호 뉴스타파 PD. 류효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강과 영산강은 보 개방으로 강이 흐르고 있지만, 낙동강과 한강은 보 개방이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낙동강의 경우 방치로 녹조 현상이 시작됐다고 했다. 최 PD는 "장마가 끝나고 더워지면 녹조가 바로 시작될 것"이라며 "영주댐에 가 보니 녹조가 상당히 많이 끼어있었다. 장마가 끝나면 바로 심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제 해결이 지체되는 건 정부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반대를 이유로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최 PD의 주장이다. 그는 "낙동강 지역은 주로 야당 쪽 지방자치단체장이라 이들의 반대가 심해 정부가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면서도 "지자체의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사실 정부의 의지가 부족했다고 보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한국일보

낙동강네트워크 등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4대강 재자연화 공약 이행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처음부터 4대강 문제를 잘못 접근했다고 비판했다. 최 PD는 "문재인 정부에서 처음 4대강 보 처리 방안을 발표하면서 당시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이 '극단적으로 재자연화, 보 완전철거를 할 수 있다'고 하면서도, '보를 존치하면서 물 이용을 강화하거나 환경성을 보강한다'고 얘기했다"며 "보 철거가 당연히 극단적인 경우란 전제로 이 문제에 접근했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4대강 문제 담당 기구인 '국가물관리위원회'가 4대강을 옹호하는 인사들로 채워졌다고 문제 삼았다. 최 PD는 "보 철거의 최종 의사결정은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하는데, 위원회가 결정을 계속 안 하고 미루고 있다"며 "위원들은 과거 4대강 사업에 대해 지지하고, 그러한 논리를 설파한 분들"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4대강 찬성론자들로, 4대강 사업의 시공사를 심사하는 등 나름대로 (4대강 사업에) 참여해 역할을 했다"고 강조했다.

최 PD는 또 "물관리위원회 위원은 최종적으로 청와대에서 정하는 것이고, 주무부처는 환경부"라며 "조명래 장관의 책임이 있다고 보여진다"고 밝혔다.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