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China to resume visa issuance for Korean students, workers in Aug: envoy (中, 내달초 韓유학생•취업자 입국 허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Pulse로 배우는 영작문-836] 'Pulse로 배우는 영작문'으로 영문 뉴스 읽기에 도전해보세요. [영문뉴스 원문 바로가기]

매일경제

Korean ambassador to China Jang Ha-sung. [Photh by Yonh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중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한국인 유학생과 취업자가 다음달부터 비자를 받아 중국에 입국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기존 비자에 대한 완화 조치를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The Chinese government will resume visa issuance to South Korean students, workers and those who have a valid residence permit around early August in what would be Beijing’s first easing in visa ban since the outbreak of coronavirus, according to a Korean top envoy to Beijing.

장하성 주중 한국대사는 27일 베이징 특파원들과 진행한 간담회에서 "중국이 유학생과 취업자(Z비자 소지자), 비자 신청 시점에 유효한 거류증을 소지한 교민 등 3개 그룹에 대한 비자 발급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비자 발급 개시 시점은 8월 초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China has agreed to issue visas for three groups – students, employees holding Chinese work visa called Z visa and people with valid residence permits,” Korean ambassador to China Jang Ha-sung said during a press conference in Beijing on Monday. The visa issuance is expected to resume in early August, according to the briefing.

다만 거류증을 가지고 있었지만, 기한이 만료된 사람은 입국 가능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에 대해 장 대사는 "이미 비자가 만료된 분들에 대해서는 앞으로 중국 측과 더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But those with expired residence permits would not included in the grant, and Jang said the issue needs a further discussion with China.

중국 당국은 코로나19 역유입을 막기 위해 지난 3월 28일부터 유효한 체류 비자와 거류허가증을 가진 외국인에 대한 입국을 막았다.

Beijing has banned the entry of foreigners to the country since March 28 including even those with valid visas and residence certificat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현재 주중 한국대사관은 비자 문제와 함께 항공편 증편에 대해서도 중국 측과 협의하고 있다. 앞서 장 대사는 "한중 양국이 코로나19 추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한다는 전제하에 양국 간 항공 운항 편수를 늘리고 생계에 필요한 경우 비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The South Korean embassy in China also is in talks with the Chinese government to increase flights between the two nations. Jang previously told reporters that he would make his utmost efforts to resolve the visa issue to help Koreans earning their livelihoods in the country and increase flights on condition that the two countries get the outbreak under control.

주중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지난 5월 1일부터 6월 말까지 한중 양국이 합의한 신속통로(기업인 입국 간소화) 제도를 통해 특별 전세기 26편이 운항했으며 기업인 3700여 명이 한국에서 중국으로 입국했다. 장 대사는 "신속통로 제도를 통해 중국으로 온 뒤 한국으로 돌아가는 항공편을 우리 교민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기업에도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The Korean embassy said total 26 flights were operated to bring 3,700 or more Koreans to China from May 1 to June since the two governments introduced a fast-track entry policy to exempt strict quarantine for business people with negative coronavirus certificate. Jang said he asked companies to allow Koreans living in China to use the flights when they return to Korea.

◆Editor’s Pick

. envoy: 사신, 특사. 대사 (ambassador)

. valid: (법적으로) 유효한. 반대는 invalid. 기간이 ‘만료된’은 expired

. further discussion: 추가 논의

. be in talks with: ~와 협의 중이다

. make utmost efforts to ~: ~을 하기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하다

. earn a livelihood: 생계를 유지하다 = earn(make) a living

. on condition: ~의 조건 아래

. get (something) under control: ~을 제어하다

. flight: 항공편

. exempt: 면제하다

◆Editor’s Note

. (Nonimmigrant) visa types 비이민 비자 종류

: business/work visa 상용비자; student visa 유학비자 ; tourist visa 관광 비자. 경유비자는 transit visa

. 주중 한국대사관: South Korean embassy in China. 주중 한국대사는 South Korean ambassador to China.

총영사관은 consulate general (예: South Korean consulate general in Los Angeles 로스앤젤레스 총영사관)

[영문뉴스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