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靑 "고체연료 발사체개발 가능…한국판뉴딜 우주로 확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정진우 기자] [the300](종합)김현종 국가안보실2차장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박정호 기자 =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28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2020년 개정 미사일 지침 채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청와대는 대한민국의 모든 기업과 연구소, 대한민국 국적의 모든 개인 등은 기존의 액체 연료 뿐만 아니라 고체연료와 하이브리드형 다양한 우주발사체를 아무런 제한 없이 연구·개발하고 생산·보유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2020.7.28/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가 28일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을 통해 우주발사체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제한을 완전히 해제했다”고 밝혔다.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번 개정으로 우리 군이 다수의 군사정찰 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고, 우주산업의 급성장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김 차장은 '한국판뉴딜'이 우주산업으로 확장됐다고 평가했다.

김 차장은 “1979년 한미 미사일 지침 채택 이후 우주발사체 고체연료의 사용은 제한을 받아왔다"며 "2020년 7월28일부터 대한민국의 모든 기업과 연구소, 그리고 대한민국 국적의 모든 개인들은 기존의 액체 연료뿐 아니라 고체 연료를 다양한 형태의 우주발사체에 아무런 제한 없이 활용해 연구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한미 미사일 지침은 우주발사체 '총역적' 분야에서 고체 추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제한했다. 총역적이란 엔진에서 낼 수 있는 총 에너지 양을 뜻한다. 우주발사체가 우주로 날아오르기 위해서는 ‘최초 1초X5000만~6000만 파운드’의 에너지가 필요한데 지금까지 제한이 100만 파운드였다. 이 같은 제약 하에서는 의미있는 발사체 개발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김 차장은 “이런 제약이 조속히 해소돼야 한다는 판단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청와대 국가안보실과 백악관 NSC가 직접 협상을 해 이 문제를 해결하라 지시했다”며 “이후 9개월 동안 미국 측과 집중 협의를 가진 끝에 오늘 날짜로 고체연료 사용제한을 완전하게 해제했다”고 했다.

이를 통해 우선 우리 군의 정보·감시·정찰(ISR) 능력의 비약적 발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김 차장은 “연구를 계속하면 자체개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를 활용한 저궤도(500~2000km) 군사정찰 위성을 우리 필요에 우리 손으로 쏘아올릴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며 “한반도 상공을 24시간 감시하는 ‘언블링킹(unblinking) 아이’(깜빡이지 않는 눈)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우리 군은 군용 정찰 위성을 단 한 대도 보유하지 못하고 있다. 다목적 실용위성인 아리랑3호, 5호를 보유하고 있지만 판독기능이 충분치 않고 한반도 순회 주기도 12시간에 불과하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박정호 기자 = 김현종 국가안보실 제2차장이 28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2020년 개정 미사일 지침 채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청와대는 대한민국의 모든 기업과 연구소, 대한민국 국적의 모든 개인 등은 기존의 액체 연료 뿐만 아니라 고체연료와 하이브리드형 다양한 우주발사체를 아무런 제한 없이 연구·개발하고 생산·보유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2020.7.28/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차장은 “우리 계획대로 2020년대 중후반까지 자체적으로 개발한 고체연료 발사체를 이용해 저궤도 발사체를 다수 발사하면 군 정찰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조만간 우수한 판독능력을 가진 저궤도 위성을 가지게 돼 24시간 한반도를 지켜보게 될 것이다. 전작권 환수와 안전한 한반도 및 동북아 구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특히 우주산업에 뛰어들 수 있는 계기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번 개정으로 우주 인프라 및 제도 개선의 토대가 마련돼 한국판 뉴딜 정책이 우주로까지 확장되는 길이 열렸다"며 "우주산업은 현재 3600억 달러 규모에서 2040년에는 1조 달러로 급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김 차장은 “우주발사체 산업은 위성 등 탑재체 개발과 생산, 우주 데이터의 활용 등 다양한 관련 분야를 창출할 것”이라며 “우주산업 생태계가 구축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개정은 한미동맹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며 “박정희 전 대통령이 고속도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IT를 위한 초고속 인터넷 고속도로를 만들었다면 문 대통령은 우주산업과 4차산업을 위한 우주고속도로를 개척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진우 기자 econpho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