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판매액 많고 '사기 상품' 인지 못한 상황 고려
부실 몰랐던 라임펀드 판매사에 '원금 전액 반환'과 형평성 문제도
라임자산운용의 플루토 TF-1호(무역금융펀드) 분쟁조정안처럼 계약 취소에 따른 원금 전액 반환을 옵티머스 펀드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분위기다.
옵티머스펀드 환매 중단(CG) |
2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다음 주부터 옵티머스 펀드의 불완전 판매 의혹과 관련해 판매사, 투자자와 3자 면담을 시작할 예정이다.
금감원이 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해 접수한 분쟁조정 신청 건수는 약 70건이다.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을 상대로 한 신청이 대부분이다.
투자자들은 수익률이 약 3%로 낮은 대신 공공기관 매출채권 등 안전 자산에 투자한다는 판매 직원의 말을 믿고 가입했다고 주장한다.
금감원 중간 검사 결과 옵티머스자산운용은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고 속여 투자자를 모은 뒤 실제로는 위험자산에 투자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 사례는 전무했기에 '사기 상품'이 투자자에게 팔린 셈이다.
사기 상품이 팔렸다는 요건만 놓고 보면 옵티머스 펀드도 라임 펀드처럼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가 가능하다.
금감원이 고민하는 지점은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 판매액이 환매 중단 사모펀드의 전체 84%에 달하는 4천327억원으로 많다는 점이다.
NH투자증권이 사기 상품이라는 점을 인지했다는 정황이 아직 나오지 않은 점도 고려 대상이다.
계약 취소에 따른 원금 전액 반환의 분쟁조정안을 과연 NH투자증권이 받아들이겠느냐는 것이 금감원의 현실적인 고민이다.
4천억원이 넘는 원금을 전액 돌려주라는 조정안이 나왔을 때 NH투자증권이 거부하면 분쟁조정안은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분쟁조정은 법적 강제성이 없어 양 당사자가 수락해야 효력이 발생한다.
결국 투자자와 NH투자증권 모두가 수용 가능한 분쟁조정안을 던져야 하는 숙제가 금감원에 던져진 셈이다.
NH투자증권 찾아간 옵티머스 피해자들 |
라임 펀드의 경우 2018년 11월 이후 판매분에 대해 원금 전액 반환이라는 분쟁조정안이 나왔다.
판매사인 신한금융투자가 부실 상품이라는 것을 인지했는데도 상품을 계속 팔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 결과다.
2018년 11월 이후 신한금융투자의 판매액은 425억원이다.
2018년 11월 이전의 판매분은 신한금융투자가 부실을 인지하기 전에 팔린 상품이라는 이유로 불완전 판매로 분쟁조정 심판대에 올라간다.
부실 인지 이전에 팔린 상품까지 원금을 전액 반환하라는 조정안을 내놓으면 신한금융투자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을 금감원이 한 것으로 보인다.
옵티머스 펀드도 2018년 11월 이전에 팔린 라임 펀드처럼 불완전 판매 사안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큰데 이럴 경우 신한금융투자가 아닌 다른 라임 펀드 판매사와의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제기될 수 있다.
우리·하나은행, 미래에셋대우는 라임 펀드가 부실 상품이라는 점을 인지하지 못한 채 판매했으나 신한금융투자처럼 원금 전액 반환의 분쟁조정안을 요구받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와 관련 "분쟁조정은 같은 조건이라면 같은 판단을 내려야 하는 재판과는 다르다"며 "분쟁조정에서는 판매사와 투자자가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합의점을 찾아 조정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물론 검찰 수사 등을 통해 NH투자증권이 특정 시점에 상품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도 펀드 판매를 계속 한 사실이 적발되면 옵티머스 펀드에도 착오에 의한 계약 취소가 적용될 수도 있다. 투자자 입장에선 원금 100% 반환의 길이 열린다는 얘기다.
kong7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