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WHO] 한·미 ‘대화’ 강조 속 ‘전략무기 개발’ 리병철 北 서열 5위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리병철, 김정은 '김일성 사망 26주기' 참배 사진서 1열 배치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승진, 김정은式 성과 주의 인사 특징

아주경제

북한 전략무기 개발 주역으로 꼽히는 리병철(붉은 원)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이 지난 5월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 당시, 김정은 위원장 곁에서 그가 문서에 서명하는 모습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리 부위원장은 당시 확대회의에서 최룡해 이후 공석으로 남아있던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에 전격 선출되며 주목을 받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이 한반도 평화와 비핵화를 위해 대화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사이 북한 전략무기 개발의 핵심인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열 5위로 등극해 주목을 받는다.

2008년 북한 공군사령부 사령관이었던 리 위원장은 12년이 지난 현재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김재룡 내각 총리 등 북한 주요 간부들과 함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수행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 사망 26주기 기념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는 8일 북한 관영 매체의 보도에서도 리 부위원장은 북한 핵심 4인방과 함께 제1열에 자리한 것으로 확인했다.

북한 후계자로 지목받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제3열에, 다른 당중앙위 부위원장과 총참모장 등 군부 3인방이 제2열에 위치했다.

2010년 인민군 대장으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군사 행보에 함께했던 리 부위원장이 ‘김정은 체제’에선 군부 내 2인자이자 실세로 자리 잡은 것이다.

공군사령부 사령관에서 당 중앙위 부위원장,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자리까지 오른 리 부위원장의 고속승진은 김 위원장의 성과주의 인사 특징이 가장 뚜렷하게 드러난다는 평가다.

아울러 북한이 미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해 ‘전쟁 억제력’ 강화를 선언하고 새로운 전략무기 개발 의지를 드러낸 것도 리 부위원장의 ‘승승장구’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노동신문이 ‘화성-14형’ 발사 3주년을 기념한 기사를 쏟아냈다는 점도 리 위원장의 위상을 뒷받침한다.
아주경제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김일성 주석 사망 26주기를 즈음해 김 주석의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고 8일 보도했다. 참배에는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김재룡 내각 총리, 리병철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앞줄 오른쪽) 등 고위인사들이 수행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리 부위원장은 김 위원장 집권 이후 북한의 핵과 미사일 등 전략무기 개발의 핵심 주역으로 꼽힌다. 특히 수년간 북한의 주요 무기실험 현장마다 김 위원장을 수행하며, 북한 무기 개발 부문의 실세임을 드러냈다.

앞서 통일부가 발간한 ‘2020 북한 주요 인물정보’에 따르면 리 부위원장은 김 위원장 집권 초기엔 군부대 시찰, 훈련지도 등에 동행했다. 이후에는 전략탄도로케트 ‘화성-10’, ‘북극성-2성’, ‘화성-14형’, 첨단전술무기시험 현지지도에도 함께했다.

지난해 4월부터는 북한의 새로운 전략무기 성능시험 현장에 매번 함께했다. 또 지난 3월 김 위원장의 전술유도시 시험사격과 ‘초대형 방사포’ 실전배치 참관 그리고 4월 서부지구 항공 및 반항공사단 관하 추격습격기연대 시찰에도 동행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앞서 “리병철의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임명은 (북한의) 상징적·실질적 조치”라며 “총정치국장이나 총참모장이 아닌 군수공업부장을 부위원장에 앉힌 것은 지속해서 전략무기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략무기 중심의 군사전략, 작전 변경, 조직편성 등을 하겠다는 의지 표명이기도 하다”고 분석한 바 있다.

정혜인 기자 ajuchi@ajunews.com

정혜인 ajuchi@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