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최대 5500억 환매 중단”… 옵티머스 자산 회수 실사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검찰 환매중단 옵티머스자산운용 압수수색 - 2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옵티머스자산운용 본사의 모습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규모 환매 중단이 발생한 옵티머스자산운용에 대한 자산 회수가 시작된다. 현재 옵티머스 펀드의 환매 중단 규모는 1000억원대지만, 나머지 펀드도 부실이 발생한 기존 펀드와 구조가 유사해 전체 5500억원 규모의 펀드가 모두 환매 중단될 가능성이 크다.

5일 금융 당국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삼일회계법인과 NH투자증권 등은 지난 1일부터 옵티머스자산운용에 대한 실사를 논의하고 있다. 펀드 회계 실사는 투자 내역 가운데 회수 가능한 자산을 확인하고 손실률을 확정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다. 예상 손실액이 확정돼야 투자자들이 금융 당국에 분쟁 조정 절차를 신청하는 등 피해 구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앞서 1조원이 넘는 손실이 발생한 라임자산운용 펀드에 대한 회계 실사는 3개월간 진행됐다.

회계 실사를 통해 옵티머스자산운용이 투자자들에게 받은 자금의 용처를 소명할 수 있을지, 회수 가능한 자산이 어느 정도인지도 알 수 있다. 옵티머스자산운용이 공식적으로 밝힌 투자금은 2699억원이다. 펀드 설정 잔액 5172억원 중 소명하지 못한 금액이 2500억원 정도다. 알려진 투자처도 아트리파라다이스와 씨피엔에스 등 정체가 불분명한 대부업체나 부동산 컨설팅업체가 대부분이다.

금감원은 지난 19일부터 진행한 옵티머스자산운용에 대한 현장 검사를 1주일 연장하기로 했다. 옵티머스 펀드 수탁사인 하나은행과 사무관리 회사인 예탁결제원에 대한 현장 검사를 진행 중인 금감원은 옵티머스 펀드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에 대한 현장 검사도 6일부터 시작한다.

한편 사모펀드 규제 가운데 일반 투자자의 사모펀드 투자 최소금액을 올리는 방안이 이르면 이달 말 적용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12월 일반 투자자의 사모펀드 투자액을 현재 1억원에서 3억원으로 높이는 개선안을 내놓았고, 법제처는 이런 내용을 담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사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