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전 세계 3점뿐인 고려 '나전합', 일본서 돌아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NS와 인터넷 검색어를 통해 오늘(2일) 하루 관심사와 솔직한 반응을 알아보는 <오! 클릭> 시간입니다.

고려 시대 나전 칠기 유물은 온전한 형태로는 전 세계에 불과 세 점 밖에 남아 있지 않은데, 그중 하나가 이번에 일본에서 돌아왔습니다.

<오! 클릭> 첫 번째 검색어는 돌아온 고려 '나전합'입니다.

국외소재 문화재 재단이 지난해 12월 일본의 개인 소장인으로부터 사들인 '나전국화 넝쿨무늬합'입니다.

길이는 10㎝, 무게는 50g으로 작고 가벼운데,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아름다움을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주 작게 오린 나전을 뚜껑과 몸체에 촘촘하게 배치해서 국화와 넝쿨무늬를 유려하게 표현했는데요.

고려 나전칠기는 고려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의 최고 공예품으로 꼽혀왔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에 20여 점만 남아 있고 대부분은 미국과 일본의 주요 박물관에 소장돼 있는데요.

이번 나전합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돼서 올해 12월 열리는 특별전에서 관람객들을 만날 예정입니다.

누리꾼들은 "이렇게 영롱할 수가~ 오랜 세월을 견디고 돌아와 줘서 고맙다!" "와~ 촘촘한 장식 실화인가요? 고려 기술자님 극한직업인 듯"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자료제공 : 문화재청)


▶ "핏줄 터질만큼 맞았다"…체육계 폭력 파문
▶ [마부작침] 민식이법이 놓친 것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