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갭투자 잡으려다 세입자 잡나"..서울 전세대란 조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소은 기자]
머니투데이

6·17 대책으로 인한 '전세 대란' 우려가 현실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대책 이후 상승폭을 키우며 53주 연속 올랐다. 규제가 집중된 강남권 위주로 상승폭이 컸다. 갭투자를 잡기 위한 대책이 전세 세입자들의 주거 불안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전셋값 53주째↑…강남권 상승 주도

2일 한국감정원 주간시세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달 29일 기준 0.10% 상승했다. 53주 연속 오름세다. 전주 0.08%과 비교해 상승폭이 확대됐다.

전세가격지수 상승률이 0.1%대에 진입한 것은 작년 1월 20일 이후 23주 만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작년 12월 0.23%까지 확대됐다가 지난 1월 이후 0.01~0.08% 수준을 유지해왔다.

정부의 6·17 대책이 전셋값을 자극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소유주의 실거주 요건을 강화 했다.

대책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강남·송파 일부구역에서는 실거주 할 게 아니라면 주택을 매매할 수 없다. 규제지역 내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경우에도 6개월 내 전입해야 하고 재건축 조합 분양 신청 자격도 2년 실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주어진다. 이에 전세 시장에 나오는 물건이 줄어들어 전셋값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됐다.

머니투데이

강남구 아파트 단지 / 사진=김창현 기자 chm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남 고가 아파트 신고가 잇따라

실제로 대책 이후 규제가 집중된 강남권 위주로 전세가격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11개구는 전주 대비 0.11% 상승하며 전체 평균을 웃돌았다. 서초구(0.20%), 강동구(0.17%), 송파구(0.14%), 강남구(0.14%) 순으로 상승폭이 컸다. 강남구의 경우, 이미 규제의 역설이 현실화 되고 있다. 감정원 관계자는 "강남구는 재건축 조합원 실거주 요건이 강화된 대치동 재건축 위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대치동 외에도 최근 강남권에서는 고가 아파트 전세 거래 신고가가 잇따랐다. 송파구 잠실동 엘스 전용 84㎡ 전세 매물은 대책 전인 지난 1일 8억5000만원에 실거래 됐으나 25일에는 11억2000만원에 계약됐다. 인근 단지인 리센츠 동일면적 역시 지난달 29일 14억원에 전세계약 됐다. 지난달 10일 9억원에 거래됐던 주택형이다.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 134㎡와 서초구 반포동 '반포자이' 전용 84㎡도 지난달 말 각각 21억5000만원, 15억원 등에 전세계약 되며 신고가를 썼다.

강북권에서도 마포구(0.17%), 강북구(0.14%), 용산구(0.11%), 도봉구(0.09%) 등이 상승을 주도하며 14개구가 이 기간 0.09% 상승했다. 역세권 대단지 위주로 오르며 상승폭이 확대됐다.


월세 전환, 입주 물량 축소 '품귀'

실제 서민들의 전셋값 상승 체감도는 이보다 더 클 것이란 예상이 우세하다. 최근 집주인들이 보유세 부담 등을 해소하기 위해 전세 물건을 반전세나 월세로 전환하고 있어서다. 전세가격을 5억원에서 6억원으로 올리면서 1억원을 월세로 돌리는 식이다. 이 경우, 따로 월세 신고는 하지 않는다. 초저금리로 은행 예금이 무의미해지면서 이런 경우가 늘고 있다는 전언이다.

설상가상으로 내년 신규 아파트 입주 물량도 절반으로 줄어들어 전세 품귀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내년 서울 입주 물량은 2만3217가구로 올해 4만2173가구의 절반 수준이다. 2022년에는 1만3116가구까지 축소된다.

이미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최근 꾸준히 줄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날까지 집계된 서울 아파트의 전월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지난달 6864건으로 지난 2월(1만9003건) 이후 4개월 연속 감소세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신축 선호와 청약대기, 교육제도 개편 등으로 전세 수요는 꾸준하나 저금리 장기화로 인한 풍부한 유동성으로 상대적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소은 기자 luckysso@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