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6월25일 새벽 4시. 한반도는 전쟁터가 됐다. 자유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전쟁 3년으로 쑥대밭이 됐다. 남과 북은 그 한가운데에 선을 긋고 휴전했다. 70년이 흘렀다.
이 트라우마가 남과 북에 문신처럼 남아있다. 이제라도 한반도를 통합할 반전을, 이를 위한 비전을 보여주지 못하면 분단기간은 '50년'보다 '100년'에 가까워진다. 청와대가 어떻게든 반전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최근 북한의 대남 공세는 한반도가 전쟁을 잠시 '쉬고 있는' 상태란 걸 드러냈다. 북한은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 폭약을 설치해 폭파하는 '전쟁방식'을 고수했다. 2018년 4.27 판문점선언 이후 '한반도의 봄'을 기대하는 이들이 많아졌지만, 간단히 풀릴 문제가 아니라는 게 다시 확인됐다. 70년간 서로 다른 곳을 보고 달린 남북의 차이가 너무 컸다. 남쪽 내부도 갈등한다.
분단과 적대관계가 오래갈수록 해결이 어렵고 고착될 거란 우려는 청와대로서도 부담이다. 2050년이 되면 1950년생이 100살이다. 6.25 전쟁을 겪고, 또 기억하는 사람이 사라진다. 통일정책, 평화정책을 추진할 국민적 기반이 지금과 완전히 달라진다는 의미다.
【서울=뉴시스】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30일 판문점 남측지역에서 문재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났다고 1일 보도했다. 2019.07.01. (출처=노동신문)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남북관계는 현 정부 들어 긍정적 시기도 있었지만 '롤러코스터'에서 내리지 못했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한반도 정세는 '일촉즉발'이었다. 북한은 보란듯이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
2918년 초 남북 특사가 오가며 봄기운이 느껴졌다. 그렇게 역사적인 판문점 협상이 성사됐고, 문 대통령은 평양에서 북한주민들을 상대로 연설을 하기에 이른다. 북한과 미국간의 지난해 2월 베트남 하노이 협상이 '노딜'로 끝나며 남북관계도 교착 국면에 빠졌다.
남북은 물론, 남북미와 중국 등 주변국까지 얽힌 한반도문제가 얼마나 어려운 난제인지 드러났다. 존 볼턴 미국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폭로도 같은 맥락에 있다.
문재인정부가 70주년 6.25를 새 반전의 계기로 삼을지 주목된다. 무엇보다 100년을 향해 가는 70년의 무게감을 느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반도 평화'는 좌든 우든 어떤 정권이든, 대한민국의 리더라면 거스를 수 없는 명제다.
물리적 통일이 당장 어렵다고 하더라도 문화적, 정서적 분야에선 끊임없이 '일상의 통일'을 시도할 수 있다. 그때가 사실상의 통일상태이고 문 대통령이 추구해 온 항구적 평화의 다른 이름일 것이다.
북한 리스크를 다루는 청와대의 대처가 안일했다는 평가도 새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거의 '개인기'로 쌓아올리다시피 한 성과는 언제든 무너질 수 있다. 청와대와 외교안보 라인이 희망적 접근을 넘어 낙관론에 빠져선 안 된다는 교훈이다.
김평화 기자 peac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