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2 (금)

이슈 차세대 스마트폰

가격↓·성능↑ 폴더블폰 핵심소자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표준硏 국제 공동연구팀, 수직으로 쌓은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개발

헤럴드경제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 개발 장면.[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폴더블폰과 돌돌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같은 플렉시블 스마트기기 핵심소자인 유기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쌓는 새로운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를 통해 가격은 낮추고 성능을 높여 차세대 스마트기기 상용화를 앞당길 전망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소재융합측정연구소 임경근 박사와 독일 드레스덴 공대, 홍콩 중문대 공동연구팀은 비싸고 복잡한 공정 없이 간단한 전기화학적 공정만으로 유기 트랜지스터를 수직으로 쌓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폴더블폰은 디스플레이 한 면만 접었다 펼 수 있게끔 만들어졌다. 디스플레이 전체를 구부리고 늘려 손목시계처럼 차고, 신문지처럼 둘둘 말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기 내 탑재되는 정보처리 및 정보저장 반도체 소자, 배터리 등 모든 부품이 유연해야만 한다.

특히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반도체 소자인 트랜지스터의 성능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성능이 결정되기때문에 상용화를 위해선 값싸고 유연하며 고성능인 트랜지스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 유기 트랜지스터는 가볍고 유연하며, 소재의 가격도 저렴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무기물 반도체보다 구동 전력이 크고 반응시간이 느려 트랜지스터로서 성능이 제한돼왔다.

대다수 기업과 연구소 등은 반도체 소자를 조밀하게 배열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 관통전극 등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은 하나의 소자를 깎고 붙여 만드는 수작업과 같아서 기술 난이도가 클뿐더러 비용이 많이 든다. 또 무기 반도체에 적용되는 기술로 유기 반도체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헤럴드경제

임경근 박사가 수직으로 쌓은 고성능 유기 트랜지스터를 들어보이고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동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대표적 전기화학적 공정인 아노다이징에 주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에 응용했다. 기존 깎아내고 붙이는 방식이 아닌, 화학반응을 통해 미세 구조체를 아래에서부터 쌓는 방식을 개발한 것.

아노다이징은 수용액에 알루미늄 전극 패턴이 포함된 소자를 담그고 전압을 인가하여 전극 표면에 일정한 형상의 산화알루미늄 산화막을 생성하는 공정이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전기화학적 처리만으로 나노미터(nm) 간격으로 미세하게 배열된 반도체 소자의 전극을 손쉽게 제작하고, 전자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해 수직구조 트랜지스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기존 수평 방식의 유기 트랜지스터보다 최대 구동 속도 100배, 구동 시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는 10000배 증가했고 구동에 필요한 전압은 1/3배 감소했다.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저분자와 고분자 등 유기 반도체의 종류에 상관없이 균일한 결과를 얻었다.

임경근 박사는 “이번 기술은 궁극적으로 형태가 자유롭게 변하는 디스플레이, 센서, 반도체 소자와 같은 차세대 스마트기기의 개발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