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30 (토)

이슈 종교계 이모저모

17세기 현진스님 첫 작품 ‘보물’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고금평 기자] [문화재청, 15세기 불상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도 함께 보물 지정]

머니투데이



17세기 조선 불교 조각에 큰 자취를 남긴 조각승 현진(玄眞)의 가장 이른 작품인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보물로 제2066호로 지정됐다.

현진 스님은 임진왜란 때 왜구에 의해 소실된 불상 조성을 주도했고 1622년 광해군비 유씨가 발원한 자수사(慈壽寺)와 인수사(仁壽寺)의 11존(尊) 불상 제작을 지휘하는 등 왕실과 전국을 무대로 활동한 뛰어난 조각가였다.

그동안 ‘진주 월명암 목조아미타불좌상’(1612년)이 가장 이른 작품으로 알려졌으나 ‘장성 백양사 목조아마타여래좌상’의 제작이 이보다 5년 앞선 사실이 이번에 확인됐다.

‘장성 백양사 목조아마타여래좌상’은 높이가 약 208cm에 달하는 대형 불상으로, 1607년(선조 40년) 조각승 현진이 주도하고 휴일(休逸), 문습(文習)이 함께 참여해 완성했다.

백양사 불상은 왕실의 선조들인 선왕(先王)과 선후(先后)의 명복을 빌고 성불(成佛)을 기원하며 만든 것으로, 1607년이라는 제작 시기로 미루어 보아 1592년 발발한 임진왜란 등 전쟁이 끝나고 몇 해가 지나지 않은 1610년 전후로 이루어진 불교 복구 과정 중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장대한 규모에 긴 허리, 원만한 얼굴과 당당한 어깨, 신체의 굴곡에 따라 자연스럽게 처리된 옷 주름, 안정된 자태 등에서 초창기 작품임에도 현진의 뛰어난 조각 실력과 더불어 17세기 불교조각의 새로운 경향을 선도한 시대적 변화를 읽을 수 있다.

특히 목조(木造)와 소조(塑造) 기법을 조합해 만든 제작 방식이 주목된다. 일반적으로 목조불상을 만들 때는 나무를 쪼아 전체적인 형체를 만든 후 부분적으로 진흙 등을 사용한 소조 기법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백양사 불상 역시 주된 재질은 목조지만 진흙으로 보강한 사실이 과학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장성 백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조선 후기 대표적 조각승 현진의 작품 중 시기적으로 가장 오래된 불상이자 그의 활동 지역과 작품 세계, 제작 기법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예술 가치가 뛰어나다.

또 1741년(영조 17년)과 1755년(영조 31년)에 작성된 중수발원문(重修發願文)을 통해 개금(改金,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함)과 중수한 내력, 참여 화승(畵僧)들의 명단과 역할을 알 수 있어 학술적 의미 역시 크다.

머니투데이


문화재청은 이와 함께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보물 제2067호로 지정했다. 이 불상은 조선 전기 1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남장사 내 부속사찰인 관음선원에 봉안(奉安)돼 있다.

남장사 관음선원 목조관음보살좌상의 경우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 등 관련 기록이 부족해 정확한 제작 시기는 확정할 수 없으나, 귀족풍의 단정한 얼굴과 어깨와 배에 멋스럽게 잡힌 옷 주름, 팔꿈치에 표현된 ‘ῼ’형 주름, 무릎 앞에 펼쳐진 부채꼴 주름 등 15세기 불상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15세기 불상이 지극히 드문 현실을 고려하면, 남장사 관음보살좌상은 이 시기 불교조각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이다.

아울러 관련 기록을 통해 1819년 인근 천주산(天柱山) 상련암(想蓮庵)에서 남장사 관음선원으로 이전돼 오늘에 이르기까지 경위와 개금과 중수 등 보수 사실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불상의 역사성 또한 인정된다.

김고금평 기자 dann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