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눈덩이처럼 늘어난 빚…韓 GDP대비 증가속도 43개국 중 1위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사진 출처=연합뉴스]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의 빚이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해 가장 빠르게 불어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95.5%로 직전분기(93.9%)대비 1.6%포인트(p) 높아졌다.

한국의 GDP대비 가계신용 비율 증가세는 홍콩(1.6%p)과 함께 전 세계 43개국 중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노르웨이(1.0%p)·중국(0.8%p)·벨기에(0.8%p)·태국(0.6%p)·러시아(0.6%p)·브라질(0.6%p)·프랑스(0.5%p) 등 순이다.

2018년 4분기와 비교해서도 한국의 1년간 오름폭(3.6%p)은 홍콩(8.3%p)·노르웨이(4.6%p)·중국(3.7%p)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컸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95.5%) 절대 수준은 스위스(132%)·호주(119.5%)·덴마크(111.7%)·노르웨이(104.8%)·캐나다(101.3%)·네덜란드(99.8%) 다음 7위였다.

특히 올해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사상 처음 민간 부문 신용 규모가 GDP의 두 배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계에 이른 가계·기업에 대한 대대적 대출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가계와 기업이 진 빚 규모가 우리나라 경제주체(가계·기업·정부)가 한해 창출하는 부가가치의 2배를 넘어선다는 뜻이다.

한은의 '금융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20조7000억원으로, 올해 들어서만 주택담보대출 27조2000억원을 포함해 32조4000억원이나 불었다.

같은 시점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945조1000억원)도 작년 말보다 76조2000억원이나 많았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