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G7 정상회담

日, 개별적 中비판은 'NO', G7 집단성명은 'OK'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G7 홍콩보안법에 대해 외교장관 명의 성명 논의
日 "G7틀 유지 중요"
앞서 美, 英 등의 비판 성명 연대엔 불응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8월 프랑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모습.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쿄=조은효 특파원】 일본 정부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제정 강행에 대응해 주요 7개국(G7)차원의 비판 성명 마련에 적극 나서는 모습이다. 앞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대중국 비판 성명 요청에 불응했던 것과 대비된다. 중국과의 관계를 감안해 일본 독자적인 비판 목소리는 부담스러우나, G7차원의 집단적 비판이라면 해볼만 하다는 것이다.

8일 요미우리신문은 현재 G7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제정 강행에 우려를 표명하는 외교장관 공동성명을 실무 수준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당초엔 미국이나 영국이 몇 개국이 참여하는 방식의 성명 발표를 준비했다. 그러다가 일본 정부가 G7의 틀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제시하면서, 이런 논의의 장이 펼쳐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G7이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이탈리아가 중국으로부터 코로나19와 관련한 의료지원을 받는 등 중국과의 연결고리를 강화하는 등 G7내에서도 중국과의 관계에 대한 실익 계산이 복잡하다. 일본 역시 개별적인 비판 성명엔 난색을 표한 바 있다. 지난 7일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로부터 중국의 홍콩보안법을 비판하는 성명에 동참해달라는 물밑 요청을 받았으나, 중국을 과도하게 자극할 수 있다고 판단해 이에 불응했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기점으로 중·일 관계는 다시 냉각기로 접어들었다. 당초 4월이었던 시진핑 국가주석의 국빈방일은 연기됐으나, 일본 내 코로나 확산 상황, 미·중 갈등 등으로 인해 현재로선 연내 방일은 어려워 보인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