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한은 “올해 국제유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요 회복 더디고 산유국 갈등 불확실성 잠재
"저유가·경기침체 맞물려 물가 하방압력 확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저유가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코로나 충격에 따른 주요국의 경기회복이 지연될 수 있는데다 산유국들 간 이해상충 등 불확실성이 잠재해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7일 ‘저유가 지속가능성 및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 점검’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제유가가 당분간 코로나 이전수준으로 회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유가가 적어도 올해 안에는 배럴당 30~40달러에 머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조선비즈

지난 4월 23일 울산시 남구 SK에너지 원유 저장 탱크의 부유식 지붕(플로팅 루프)이 상단까지 올라와 있다. 부유식 지붕은 저장된 원유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조절된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국제유가는 연일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달부터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이 경제활동을 재개하면서 4월말 이후 가격은 빠르게 회복됐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수요감소, 산유국 간 감산 합의 불확실성, 원유 저장고 포화 등 이슈가 언급될 때마다 혼조세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앞서 연초 60달러선을 웃돌던 국제유가는 코로나 사태 이후 3월부터 끊임없이 곤두박질쳤다. 지난 4월 20일에는 서부텍사스산원유(WTI) 5월 인도분이 배럴당 -37.63달러에 거래를 마감하며, 사상 첫 마이너스 유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은은 "대부분의 주요기관들은 2020년~2021년중 국제유가가 배럴당 30~40달러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하는 등 당분간 저유가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올해 안에는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조선비즈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 변동 추이.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은은 원유에 대한 수요 회복 속도가 더딜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로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방역조치가 지속되면서 도로운송 및 항공여객 수요가 정상화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코로나 재확산, 고용 악화 등으로 전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부각됐다.

산유국들의 감산 이행 및 합의 연장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공급 부분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산유국의 석유판매 수입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부 국가가 경기부양 재원 마련을 위해 감산 쿼터를 준수하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지난 4일(현지시간) OPEC+(석유수출국기구인 OPEC과 10개 주요 산유국의 연대체)은 기존에 9~10일로 예정된 회동을 이날로 앞당기는데 실패했다. 전날 핵심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는 하루 970만배럴 감산 합의를 7월까지 한 달 연장하기로 했지만, 이라크 등 다른 산유국들은 난색을 표했다.

한은은 유가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세계경제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졌다고 분석했다. 저유가 기조가 글로벌 저인플레이션 추세, 경기침체 등과 맞물리며 주요국을 중심으로 물가 하방압력이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경우 셰일산업 업황 부진, 셰일기업의 부실로 경기회복이 저해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통상적으로 유가 하락은 우리나라와 같은 원유 수입국에서는 실질소득 증가 및 생산비용 감소 등을 통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번 저유가 상황에선 부정적 충격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권유정 기자(y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