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3월 급증했던 은행 예·적금과 보험의 중도해지 규모가 4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위기로 급전이 필요해 당장 예·적금이나 보험을 깨 돈을 마련했지만, 긴급한 위기는 넘긴 것으로 보입니다.
긴급재난지원금 지원과 소상공인 대출 지원 등의 영향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개인 고객의 정기 예·적금 중도 해지 건수는 지난 3월 이례적으로 60만4천942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이후 4월 48만3천320건, 5월 46만2천440건으로 점차 감소했습니다.
액수를 봐도 3월 7조7천386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4월 5조5천666억원, 5월 4조8천767억원으로 차츰 줄었습니다.
만기를 채우기 전에 예·적금을 깨는 것은 약정한 이자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에게 손해입니다.
이를 감수하고도 중도에 해지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경제적 어려움 때문입니다.
통상적으로도 더 높은 금리의 상품을 좇거나 부동산, 주식 등으로 투자처를 옮기기 위해 예·적금을 깨는 경우는 늘 존재합니다.
그러나 유독 올해 증감폭이 큰 것은 주식투자용 자금 빼기 목적도 일부 있지만 무엇보다 코로나19에 따른 서민들의 생활·경제난이 주요인으로 꼽힙니다.
자영업자는 영업난, 직장인은 급여 손실분 충당을 위해 예·적금을 깬 사례가 많았다는 얘기입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3월 주식 열풍이 불면서 일부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이동하기도 했지만, 특히 개인사업자의 중도해지 신청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며 "금리가 낮아진 것도 이전과 달리 예·적금 해지의 문턱을 낮췄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관계자도 "시기적으로 볼 때 정부와 지자체의 긴급재난지원금,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실행된 소상공인 긴급 지원 대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같은 기간 은행 예·적금과 펀드를 담보로 돈을 빌린 건수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5개 은행의 예·적금 및 펀드를 담보로 신규 취급된 대출 건수는 3월 9만1천964건으로 치솟았다가 4월 6만7천296건, 5월 7만288건으로 줄었습니다.
보험 쪽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보험해지 환급금은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한 3월에 급증했지만 4월 들어서는 감소로 돌아섰습니다.
대형 생명보험 3개사와 손해보험 5개사의 3월 약관대출 규모는 2조7천9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6% 급증했지만 4월엔 1조8천583억원으로 작년보다 3천513억원(-15.9%)이나 감소했습니다.
5월 자료가 집계된 손보 5개사의 지난달 약관대출은 4천95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천116억원(-18.4%)이나 쪼그라들었습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4월 초까지 약관 대출과 중도 해지가 몰려들다가 이후 진정세가 전반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흐름의 배경으로 보험업계 역시 제1금융권의 저리 '코로나 대출', 재난지원금을 지목했습니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보험 약관대출이나 카드대출은 제1금융권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힘든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금리에 생계자금이나 급전을 융통하는 수단"이라며 "코로나19로 은행에서 저리 대출을 받는 문이 넓어지자 약관대출과 중도 해지 수요가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전형우 기자(dennoch@sbs.co.kr)
▶ '친절한 애리씨' 권애리 기자의 '친절한 경제'
▶ '스트롱 윤' 강경윤 기자의 '차에타봐X비밀연예'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