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산업부, 3차 추경 1조1651억 편성…코로나 극복·한국판 뉴딜 다 잡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경제위기 극복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한국판 뉴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 마련에 나섰다.

산업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총 26개 사업, 1조1651억원을 편성했다고 3일 밝혔다. 이 날 열린 국무회의를 거쳐 국회에 제출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3차 추경예산안이 국회 심의를 거쳐 확정되는 대로 즉시 집행할 것”이라면서 “다음달 발표될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서도 추가 과제를 발굴하는 등 적극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추경안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응해 △수출·투자 활성화(4개 사업, 3617억원) △내수진작·위기산업 지원(4개 사업, 3175억원) △K방역산업 육성(2개 사업 79억원)을 핵심 정책으로 담았다. 코로나 종식 이후를 대비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16개 사업, 4780억원)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산업부는 한국판 뉴딜 관련 예산 중 30% 이상을 '그린뉴딜'에 편성했다. 저탄소 녹색 산단 구축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및 수소 확산기반 마련, 에너지 디지털화 등을 핵심 과제로 추진한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제조업의 녹색전환을 위해 산업단지 에너지인프라를 개선한다. 산단 에너지 사용 점검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 에너지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산단 공장 지붕형 태양광 설치 융자를 신설한다.

재생에너지 확산과 수소경제 기반을 위한 지원책도 확대한다. 분산형 태양광 설치비용 보조예산을 550억원, 농축산어민 태양광 설치비용 융자를 500억원 각각 늘렸다. 그린수소 생산저장 핵심기술개발에 40억원, 수소 전주기 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에 29억원을 투입한다.

한국판 뉴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에너지 디지털화에도 팔을 걷는다. 디지털 수요관리를 위해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구축 사업을 신설했다. 노후 건물의 에너지진단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도 진행한다.

코로나19 위기 극복에도 힘을 쏟는다.

산업부는 수출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무역보험기금에 총 3271억원을 출연한다. 해외경기부양프로젝트 수주 지원 △수출채권 조기현금화 지원 △긴급수출안정자금 보증 등 6개 분야에 무역금융을 대폭 강화한다.

이외에도 수출기업들의 비대면 해외마케팅 지원에 총 54억원을 편성했다. 간접수출실적증명서 온라인 발급 등 무역관련 업무 온라인화(12억원)도 촉진한다.

해외에 진출한 우리기업을 국내로 불러들이기 위한 유턴기업 전용 보조금은 200억원 규모로 마련했다. 비수도권 유턴기업에 한정됐던 지원대상은 수도권(첨단산업 기업)으로 확대한다.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환급 사업 대상 품목은 기존 10개에서 의류건조기를 추가했다. 예산은 1500억원에서 4500억원으로 3배 늘렸다. 자동차·항공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으로는 총 135억원(자동차부품 95억, 항공부품 40억)을 편성했다. 백신개발 지원 인프라 구축 및 K-방역 국제표준화 지원사업에는 79억원을 투입한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